고혈압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78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4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치료 ==
== 치료 ==
혈압 조절이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너무 급작스러운 혈압 하강은 시신경이나 다른 장기의 경색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급성기 혈압 강하 치료의 목표는 말단 기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뇌병증, 심장 허혈, 폐 부종 또는 신부전 등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24~48시간 동안 주의 깊게 결과를 관찰하면서 혈압을 서서히 떨어뜨려야 한다.<br />&nbsp:;&nbsp;Nitroglycerin, nifedipine 의 혀밑 투여는 혈압을 급격하게 낮출 수 있어 금기시 된다. 임산부나 뇌병증, 종말 기관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는 중환자실에서 지속적인 동맥내 혈압 감시를 시행하면서 정맥 주사 약제를 사용한다.
혈압 조절이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너무 급작스러운 혈압 하강은 시신경이나 다른 장기의 경색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급성기 혈압 강하 치료의 목표는 말단 기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뇌병증, 심장 허혈, 폐 부종 또는 신부전 등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24~48시간 동안 주의 깊게 결과를 관찰하면서 혈압을 서서히 떨어뜨려야 한다.<br />&nbsp:;&nbsp;Nitroglycerin, nifedipine 의 혀밑 투여는 혈압을 급격하게 낮출 수 있어 금기시 된다. 임산부나 뇌병증, 종말 기관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는 중환자실에서 지속적인 동맥내 혈압 감시를 시행하면서 정맥 주사 약제를 사용한다.
== 참고 ==
신경안과학 제 3판 (한국 신경안과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