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6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확장된 모세혈관이나 비전형적인 미세혈관류, 특히 표면에 국한된 초기 신생혈관과의 구분이 쉽지는 않은데, 세동맥과 세정맥을 동시에 지나치지는 않고, 형광안저혈관조영 초기부터 심한 누출을 보이지 않는 점이 구별에 도움이 된다.
확장된 모세혈관이나 비전형적인 미세혈관류, 특히 표면에 국한된 초기 신생혈관과의 구분이 쉽지는 않은데, 세동맥과 세정맥을 동시에 지나치지는 않고, 형광안저혈관조영 초기부터 심한 누출을 보이지 않는 점이 구별에 도움이 된다.
== 경과 및 예후 ==
== 경과 및 예후 ==
모든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이 신생혈관으로 발전하지는 않으나, [[주변 혈관신생]]의 70%가 망막 내 미세혈관 이상이 있던 자리에서 발생하는 등, 신생 혈관의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다. 따라서 <span style='color:blue;'>[[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에 예후적 의의가 있는 소견</span>이다.
모든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이 신생혈관으로 발전하지는 않으나, [[주변 혈관 신생]]의 70%가 망막 내 미세혈관 이상이 있던 자리에서 발생하는 등, 신생 혈관의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다. 따라서 <span style='color:blue;'>[[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에 예후적 의의가 있는 소견</spa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