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41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7일 (목)
잔글
잔글 (→‎흡연)
24번째 줄: 24번째 줄:
=== 신장 질환 ===
=== 신장 질환 ===
=== 경동맥 질환 ===
=== 경동맥 질환 ===
당뇨병 환자는 혈관 합병증으로 경동맥 질환이 잘 생기며, 이로 인한 경동맥 혈류의 감소는 안구의 허혈을 일으켜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심한 비대칭의 당뇨 망막병증을 보일 때에는 경동맥 혈관 질환을 의심하여 경동맥 조영술 등의 검사를 통해 확진을 한 후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 흡연 ===
=== 흡연 ===
혈관 내 일산화탄소의 증가, 혈소판 응집의 증가, 혈관 수축 등의 효과는 흡연이 당뇨 망막병증에 영향을 미 칠 수 있음을 시사하나, 현재까지 이에 대해서는 결론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20년 이상 된 환자에서 흡연으로 인하여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흡연과 당뇨망막병증의 빈도 및 진행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중의 하나가 흡연이며 흡연을 중단할 때 당뇨병 환자가 아닌 사람에서 심혈관 질환의 진행 위험을 70%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에서도 금연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흡연으로 인하여 암과 관상동맥 및 말초 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금연을 권하여야 한다.
혈관 내 일산화탄소의 증가, 혈소판 응집의 증가, 혈관 수축 등의 효과는 흡연이 당뇨 망막병증에 영향을 미 칠 수 있음을 시사하나, 현재까지 이에 대해서는 결론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20년 이상 된 환자에서 흡연으로 인하여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흡연과 당뇨망막병증의 빈도 및 진행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중의 하나가 흡연이며 흡연을 중단할 때 당뇨병 환자가 아닌 사람에서 심혈관 질환의 진행 위험을 70%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에서도 금연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흡연으로 인하여 암과 관상동맥 및 말초 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금연을 권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