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경동맥 질환) |
잔글 (→신장 질환)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당뇨 망막병증을 가진 환자는 전신 질환의 철저한 관리를 받아야 한다. | 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당뇨 망막병증을 가진 환자는 전신 질환의 철저한 관리를 받아야 한다. | ||
=== 신장 질환 === | === 신장 질환 === | ||
당뇨병에 의한 신장 질환은 당뇨 망막병증의 악화와 관련이 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는 약 1/3에서 당뇨 신장병증이 발생한다. 10년 이상 당뇨를 앓아온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단백뇨가 있을 경우, 심한 망막병증에 이 를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인슐린 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도 단백뇨가 있으띤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이 합병될 위험이 매우 높다.<br /> 요독증이 있을경우 시 신경유두부종 굉범위한망막부종으로황빈에도부종이 심하게 나타나시력이 손상되며, 신부전을 치료함으로써 망막 및 황반 부종이 개선될 수 있다. 일단 부종이 심해지면 레이 저 광응고술이 효과적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기에 [[범망막 광응고술]]을 시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신부전 환자는 혈액투석 중에 안압상승의 위험이 있는데, 특히 유리체 절제술을 받았던 눈에서 잘 나타난다. 신장 이식 환자에서는 스테 로이 드의 장기시용에 의한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고, 장기간 면역 억제제를 시용할 경우에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이 생길 수 있다. | |||
=== 경동맥 질환 === | === 경동맥 질환 === | ||
당뇨병 환자는 혈관 합병증으로 경동맥 질환이 잘 생기며, 이로 인한 경동맥 혈류의 감소는 안구의 허혈을 일으켜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심한 비대칭의 당뇨 망막병증을 보일 때에는 경동맥 혈관 질환을 의심하여 경동맥 조영술 등의 검사를 통해 확진을 한 후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 당뇨병 환자는 혈관 합병증으로 경동맥 질환이 잘 생기며, 이로 인한 경동맥 혈류의 감소는 안구의 허혈을 일으켜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심한 비대칭의 당뇨 망막병증을 보일 때에는 경동맥 혈관 질환을 의심하여 경동맥 조영술 등의 검사를 통해 확진을 한 후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