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눈 개회충증 (ocular toxocariasis) 은 유충이 혈액을 따라 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환자의 연령은 보고에 따라 6.4~5*7세에...)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개회충증의 유충 자체나 그 일부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나, 생검을 위한 충분한 조직을 얻기가 어려우며 생검에 의한 합병증 등 위험 부담 때문에 조직학적 확진은 대부분 경우에서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바탕으로 추정하며, 개회충증 유충에 대한 혈청 항체의 존재를 확인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한다. | 개회충증의 유충 자체나 그 일부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나, 생검을 위한 충분한 조직을 얻기가 어려우며 생검에 의한 합병증 등 위험 부담 때문에 조직학적 확진은 대부분 경우에서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바탕으로 추정하며, 개회충증 유충에 대한 혈청 항체의 존재를 확인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한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톡소플라즈마증]], [[ | [[톡소플라즈마증]], [[망막 모세포종]], 다른 종류의 안내염이나 포도막염, [[미숙아 망막병증]], 수정체후 섬유 증식, [[가족성 삼출 유리체망막병증]], [[코우츠병]], [[일차 유리체 증식증]], 특발성 시신경염 등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특징적인 망막 육아종의 관찰, 혈청 개회충증 항체 증가, 생고기 및 생간 복용력이 주요 감별점이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 albendazole : 400mg을 하루 2회, 1~2주간 복용하는 것이 thiabendazole보다 전신적 개회충증에서 더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에 안구내 염증을 동반한 활성기 눈 개회충증에서 표준 치료인 경구 스테로이드 복합 요법의 사용이 시도되었으며, 좋은 치료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 * albendazole : 400mg을 하루 2회, 1~2주간 복용하는 것이 thiabendazole보다 전신적 개회충증에서 더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에 안구내 염증을 동반한 활성기 눈 개회충증에서 표준 치료인 경구 스테로이드 복합 요법의 사용이 시도되었으며, 좋은 치료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 ||
* thiabendazole, diethylcarbamazine : [[ | * thiabendazole, diethylcarbamazine : [[전신 개회충증]]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눈 개회충증을 치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