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양상)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심한 안내 염이 발생하면 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외상이나 수술 후에 |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심한 안내 염이 발생하면 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외상이나 수술 후에 | ||
발생한다. 안내 염이 발생한 눈은 심하게 충혈되는데, 공막 감염의 첫 정후는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막 탈출, 공막 천공으로 나타난다. 많은 경우에 안압이 낮고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S. aureus, S, equinus 에 의해 발생한 안내염에서 백내장 수술 후 만들어진 공막 터널에 농양이나 궤양이 발생한 경우가 두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드물게 내인성 원인으로 인한 안내감염의 경우 공막으로 확장되어 공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Toxoplasma와 Toxocara와 연관된 내인성 감염도 보고된 적이 있다. | 발생한다. 안내 염이 발생한 눈은 심하게 충혈되는데, 공막 감염의 첫 정후는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막 탈출, 공막 천공으로 나타난다. 많은 경우에 안압이 낮고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S. aureus, S, equinus 에 의해 발생한 안내염에서 백내장 수술 후 만들어진 공막 터널에 농양이나 궤양이 발생한 경우가 두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드물게 내인성 원인으로 인한 안내감염의 경우 공막으로 확장되어 공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Toxoplasma와 Toxocara와 연관된 내인성 감염도 보고된 적이 있다. | ||
=== 공막돌륭술 후 공막염 === | |||
공막돌륭술과 연관된 감염은 여러 경로를 통해 나타날 수 있다. 환지들은 통증과 이물감을 호소하며, 포도막염의 증상과 징후가나타날수 있다. 농양이 맥락막이나 망막에 보이기도 하며, 어떤 경우에는 결막하 농양도 나타난다. 그 외에도 결막하 출혈, 결막하 육이종, 망막 박리, 증식성 유리체 망막증, 공막 천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수술 후 즉시 발생할 수도 있고 몇 년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Pseudomonas, roteus, 진균 등이 보고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