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두 판 사이의 차이

90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5월 26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McBride disability evaluation)
<b>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McBride disability evaluation)</b> (제 6판, 1963년)
 
시효율 (visual efficiency) 이라 함은 눈이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는 능력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평가 항목은 1. 원거리 및 근거리 교정 시력, 2. 시야, 3. 눈알 운동 이며, 각 항목의 효율을 계싼하여 시각 장애에 따른 신체 장애의 정도를 구할 수 있다.
== 중심 시력 ==
== 중심 시력 ==
# 시력표는 Snellen 원칙에 의한 문자, 숫자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원거리 시력일 경우 측정 거리는 6m, 근거리 시력일 경우 36cm 에서 시행하며, Snellen 식, Jaegger 식, Point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력의 표기는 분자 / 분모로 한다.
# 시력표는 Snellen 원칙에 의한 문자, 숫자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원거리 시력일 경우 측정 거리는 6m, 근거리 시력일 경우 36cm 에서 시행하며, Snellen 식, Jaegger 식, Point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력의 표기는 분자 / 분모로 한다.
25번째 줄: 27번째 줄:
|20/64||6/20||3.2||65||35
|20/64||6/20||3.2||65||35
|}
|}
== 시야 ==
# 골드만 시야계를 이용하여 주변 시야를 측정하는데, 주변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며 8개 방향의 경선에서 측정한다.
# 정상 시야 범위는 귀쪽 85˚, 아래 귀쪽 85˚, 아래쪽 65˚, 아래코쪽 50˚, 코쪽 60˚, 위코쪽 55˚, 위쪽 45˚, 위귀쪽 55˚ 이며, 8개의 경선으로 표현된다. 8개의 경선이 표시하는 시야 값의 합이 500˚ 이상이면 정상이다. 500˚ 이하인 경우에 전체 보유분을 계산하여 상실율을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