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변성 (망막): 두 판 사이의 차이

5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6월 3일 (수)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 디옵터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근시안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안축장이 길면 길수록 격자 변성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나 이와 반대로 6 디옵터 이상의 근시에서는 안축장이 긴 눈에서 오히려 격자 변성의 빈도가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중등도의 근시에서 많이 관찰된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28mm 이상의 고도 근시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둥글고 타원의 모양이거나 주위에 황백색의 반점 또는 망막과 맥락막의 색소 침착과 붉은 얼룩의 모습이 관찰된다. 격자변성에 있는 하얀 선은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초가 형성된 것으로 소정맥 에 서 나타니는 경우가 많으며 나뭇가지 모양이다.<br />&nbsp;&nbsp;격자 변성이 많은 위치는 거상연과 적도 사이이며 하이측 사분띤에 조금 더 많이 분포하지만 하얀 선이 있는 병변들은 상측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대부분의 병변은 11 시에서 1시 사이 와 5시에서 7시 방향의 경선 부위 에 있으며 크기는 0.17에서 l2 디스크 직경으로 다양하다. 격자변성은 국소회된 원형, 난형, 혹은 선형의 망막 얇아짐; 색소침착; 황백색 표면 반점; 원형, 난형, 혹은 선형 백색반점; 원형, 난형 혹은 선형의 적색 분회구; 작은 위축성 원공; 가지 치는 백색선; 황색 위축성 반점(색소상피의 틸-색소화) 그리고 드물게 병변의 말단이나후 정계부에서 견인성 열공 등의 순서의 빈도로 발생한디 . 격지변성 색소침칙은 82%에 서 관찰되고 황백색의 반점도 80%에 서 보이며 니뭇기지 모양의 하얀선은 12-17%정도에서 보고된다.<br />&nbsp;&nbsp;격자 변성이 있는 망막과 접하는 유리체에서는 균일한 액화가 발생히지만 그 병변의 기장자리에서 는 강한 유리체망믹 부착 이 특징적 이 다. 그러므로 격자변성은 견인성 밍-막열공 발생이 드물지만 기능한 병변이다. 격자 변성에서 일어나는 작은 위축성 원공은 견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망막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격자변성 영역에서 보이는횡백색 반점들은 현재 내경계막과 내측망박의 잔여 부위 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격지변성으로 망막이 점점 앓아지면 위축성 밍막 원공이 발생할수 있다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둥글고 타원의 모양이거나 주위에 황백색의 반점 또는 망막과 맥락막의 색소 침착과 붉은 얼룩의 모습이 관찰된다. 격자변성에 있는 하얀 선은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초가 형성된 것으로 소정맥 에 서 나타니는 경우가 많으며 나뭇가지 모양이다.<br />&nbsp;&nbsp;격자 변성이 많은 위치는 거상연과 적도 사이이며 하이측 사분띤에 조금 더 많이 분포하지만 하얀 선이 있는 병변들은 상측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대부분의 병변은 11 시에서 1시 사이 와 5시에서 7시 방향의 경선 부위 에 있으며 크기는 0.17에서 12 디스크 직경으로 다양하다. 격자변성은 국소회된 원형, 난형, 혹은 선형의 망막 얇아짐; 색소침착; 황백색 표면 반점; 원형, 난형, 혹은 선형 백색반점; 원형, 난형 혹은 선형의 적색 분회구; 작은 위축성 원공; 가지치는 백색선; 황색 위축성 반점(색소상피의 탈색소화) 그리고 드물게 병변의 말단이나후 정계부에서 견인성 열공 등의 순서의 빈도로 발생한다. 격자 변성 색소 침착은 82%에서 관찰되고 황백색의 반점도 80%에서 보이며 나뭇기지 모양의 하얀선은 12-17%정도에서 보고된다.<br />&nbsp;&nbsp;격자 변성이 있는 망막과 접하는 유리체에서는 균일한 액화가 발생히지만 그 병변의 기장자리에서는 강한 유리체-망막 부착이 특징적이다. 그러므로 격자변성은 견인성 망막 열공 발생이 드물지만 기능한 병변이다. 격자 변성에서 일어나는 작은 위축성 원공은 견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망막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격자변성 영역에서 보이는 황백색 반점들은 현재 내경계막과 내측망박의 잔여 부위 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격지변성으로 망막이 점점 앓아지면 위축성 망막 원공이 발생할수 있다


== 치료 ==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