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각막 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9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격자 각막 이상증 (lattice corneal dystrophy; LCD)
<b>격자 각막 이상증 (lattice corneal dystrophy; LCD)<b>
== 분류 ==
== 분류 ==
* 1형 : 처음 발견된 고전형으로 10세 이전 유년기에 시작한다. 초기에 특징적인 격자선이 없어지면서 상피하에 점모양 혼탁이 존재하지만, 아밀로이드 침착이나 진무름이 점차 반복되면서 혼탁이 나타나는 중년 시기까지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 1형 : 처음 발견된 고전형으로 10세 이전 유년기에 시작한다. 초기에 특징적인 격자선이 없어지면서 상피하에 점모양 혼탁이 존재하지만, 아밀로이드 침착이나 진무름이 점차 반복되면서 혼탁이 나타나는 중년 시기까지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각막 진무름과 표층 혼탁에 대해서는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시력이 저하되면 [[표층 각막 이식]] 또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할 수 있으나, [[과립 각막 이상증]]이나 [[반점 각막 이상증]]에 비해 재발의 빈도가 높고, 빠르면 3년 이내에 재발하기도 한다. 재발하는 경우에는 격자선보다는 광범위한 점모양 혼탁이 잘 발생한다.
각막 진무름과 표층 혼탁에 대해서는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시력이 저하되면 [[표층 각막 이식]] 또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할 수 있으나, [[과립 각막 이상증]]이나 [[반점 각막 이상증]]에 비해 재발의 빈도가 높고, 빠르면 3년 이내에 재발하기도 한다. 재발하는 경우에는 격자선보다는 광범위한 점모양 혼탁이 잘 발생한다.
{{참고|각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