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26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9일 (화)
잔글
43번째 줄: 43번째 줄:
수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근시가 다시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직후에 약간의 퇴행이 있으나 중등도 근시는 수술 후 1~3개월, 고도 근시는 6개월이 지나면 굴절 상태가 안정된다. 근시 퇴행의 원인으로는 각막 상피 증식과 기질의 재형성이 있으며, 드물게 고도 근시에서 안축장이 계속 늘어나면서 생길 수도 있다.{{br}}근시 퇴행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때는 첫 번째 수술 후 6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을 통해 굴절 이상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수술 후에도 절편을 제외한 잔여 기질의 두께가 250㎛ 이상이 되어야 하고 전체 두께가 410㎛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 후에 시행해야 각막 확장증이나 원추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보강 수술 방법으로는 각막 절편을 들고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한 후 다시 덮는 방법과 재절개가 있으며, PRK 등 표면 절제를 할 수도 있다. 보강 수술 방법에 따른 수술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수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근시가 다시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직후에 약간의 퇴행이 있으나 중등도 근시는 수술 후 1~3개월, 고도 근시는 6개월이 지나면 굴절 상태가 안정된다. 근시 퇴행의 원인으로는 각막 상피 증식과 기질의 재형성이 있으며, 드물게 고도 근시에서 안축장이 계속 늘어나면서 생길 수도 있다.{{br}}근시 퇴행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때는 첫 번째 수술 후 6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을 통해 굴절 이상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수술 후에도 절편을 제외한 잔여 기질의 두께가 250㎛ 이상이 되어야 하고 전체 두께가 410㎛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 후에 시행해야 각막 확장증이나 원추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보강 수술 방법으로는 각막 절편을 들고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한 후 다시 덮는 방법과 재절개가 있으며, PRK 등 표면 절제를 할 수도 있다. 보강 수술 방법에 따른 수술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 각막 확장증 ===
=== 각막 확장증 ===
각막 확장증 (keratectasia folloowing LASIK) 은 비교적 드문 합병증이며, 0.66%의 확률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수술전 8.0D 이하의 근시이거나 각막 절편을 제외한 잔여 각막 두께가 325㎛ 이상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한편 대부분의 각막 확장증은 수술 후 전체 두께가 400㎛ 이하이며 잔여 각막이 250㎛ 이하인 경우 발생했다고 하나, 어떤 위험인자 없이 각막 확장증이 생긴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br}}각막확장증이 생기면 보통 근시 퇴행을 보이며, 나안 및 교정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부정 난시를 동반하게 된다. 각막 지형도에서 부정 난시를 보이고 보통 각막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큰 각막 굴절력 (steepening) 이 나타난다. Orbscan으로는 후면 각막 확장을 볼 수 있다. 조직 검사 상 각막 내피세포에는 이상이 보이지 않으나 상피세포층 파괴, 보우만막 파괴와 주름, 액포와 불규칙한 기질층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먼저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도 하지만, 진행되면 결국 [[원추 각막]]에 준한 처치가 필요하다.
=== 술 후 안구 건조증 ===
=== 술 후 안구 건조증 ===
라식 과정에서 각막 절편을 만들 때 각막 신경이 절단되는데, 이로 인하여 일시적인 신경 이상 상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눈물샘으로 가는 자극이 감소하여 눈물 분비가 줄어들어 안구 건조증이 생기거나 악화된다. [[동일 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라식 직후 기질 신경섬유 다발 수의 90% 가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수술 후 그 수가 차차 회복되지만 1년 후에도 수술 전의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도 있다. 라식 후의 안구 건조증 치료는 일반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수술 직후부터 한 달 이상은 예방적으로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자주 투여히는 것이 좋다. 수술 전에 안구 건조증이 있으면 치료 후로 수술을 연기하며, 증상이 심하면 각막 지각의 손상이 덜한 PRK나 LASEK을 고려히는 것도 좋다.
라식 과정에서 각막 절편을 만들 때 각막 신경이 절단되는데, 이로 인하여 일시적인 신경 이상 상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눈물샘으로 가는 자극이 감소하여 눈물 분비가 줄어들어 안구 건조증이 생기거나 악화된다. [[동일 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라식 직후 기질 신경섬유 다발 수의 90% 가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수술 후 그 수가 차차 회복되지만 1년 후에도 수술 전의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도 있다. 라식 후의 안구 건조증 치료는 일반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수술 직후부터 한 달 이상은 예방적으로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자주 투여히는 것이 좋다. 수술 전에 안구 건조증이 있으면 치료 후로 수술을 연기하며, 증상이 심하면 각막 지각의 손상이 덜한 PRK나 LASEK을 고려히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