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1,03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22일 (월)
잔글
잔글 (→‎증상)
3번째 줄: 3번째 줄:
나이가 들수록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일부 환자에서는 노화 현상으로 인해 눈꺼풀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차적으로 나타난 비정상적인 눈깜빡임에 의해 발생한다.
나이가 들수록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일부 환자에서는 노화 현상으로 인해 눈꺼풀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차적으로 나타난 비정상적인 눈깜빡임에 의해 발생한다.
== 증상 ==
== 증상 ==
대개 비특이적이며,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게 작열감, 이물감, 가려움, 충혈, 시력 저하나 시력 변동을 주로 호소한다. 진찰 소견의 심한 정도와 환자의 증상 정도는 대개 일치하지 않는다.
대개 비특이적이며, 안구 건조증과 비슷하게 작열감, 이물감, 가려움, 충혈, 시력 저하나 시력 변동을 주로 호소한다. 진찰 소견의 심한 정도와 환자의 증상 정도는 대개 일치하지 않는다. 종종 눈물분비 감소를 동반하게 되는데,  눈물 분비 감소가 함께 있는 환자들은 심한 안구 건조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외측 눈구석에서 눈물 내 거품이 종종 생기게 된다. [[쇼그렌 증후군]]의 눈물 부족 환자들의 대략 60%에서 마이봄샘 기능 장애가 동반된다.{{br}}주사가 흔히 동반되는데, 병인론적으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혈관확장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조직학적으로 심한 탄력 섬유증 (elastosis) 이 종종 관찰되고, 진피층의 분열과 부종이 동반된다. 피지 분비는 큰 차이가 없다. 마이봄선이 일종의 피지샘의 변형된 형태이기 때문에 주사 환자에서 피지샘에 이상이 발생하듯 마이봄선에도 역시 장애가 발생하고, 이는 대개 비대화 (hypertrophy) 와 충전 (plugging) 으로 나타나게 된다. 주사가 동반된 환자들은 meibography로 관찰 시 더 심한 변화를 볼 수 있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염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마이봄샘의 배출구들은 대개 후방으로 밀려오고, 지질의 고체화 혹은 상피 때문에 보통 orifice crapping 이 존재하게 된다. 눈꺼풀테를 누르면 지질이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만 나오며, 간혹 이상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분비물은 혼탁하고 과립 혹은 치약 같은 형태로 배출된다.{{br}}안구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지방층의 분비 장애 등으로 인해 눈물막의 지방층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눈물 증발이 촉진되어 건성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Goto와 Tseng 은 마이봄샘 기능 장애 시 지방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눈물막 증발이 증가하며, 건성안 관련 증상의 악화가 초래된다고 했다. Kim 등은 Tearscope<sup>®</sup> 를 이용하여 눈물막 지방층의 두께 및 분포를 관찰하였는데,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는 군은 호소하지 않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껍고 비균질한 지방층을 나타냈다.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염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마이봄샘의 배출구들은 대개 후방으로 밀려오고, 지질의 고체화 혹은 상피 때문에 보통 orifice crapping 이 존재하게 된다. 눈꺼풀테를 누르면 지질이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만 나오며, 간혹 이상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분비물은 혼탁하고 과립 혹은 치약 같은 형태로 배출된다.{{br}}안구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지방층의 분비 장애 등으로 인해 눈물막의 지방층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눈물 증발이 촉진되어 건성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Goto와 Tseng 은 마이봄샘 기능 장애 시 지방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눈물막 증발이 증가하며, 건성안 관련 증상의 악화가 초래된다고 했다. Kim 등은 Tearscope<sup>®</sup> 를 이용하여 눈물막 지방층의 두께 및 분포를 관찰하였는데,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는 군은 호소하지 않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껍고 비균질한 지방층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