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50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7월 10일 (금)
잔글
20번째 줄: 20번째 줄:
== 치료 ==
== 치료 ==
=== 스테로이드 ===
=== 스테로이드 ===
ONTT의 보고에 따르면 457명의 시신경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서 <span style='color:blue;'>정맥 주입군의 시력 회복이 훨씬 빨랐으나</span>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는 없었고 1년 후 두 군의 시력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span style='color:blue;'>경구 투여군에서는 약물이 시력 회복에 도움을 주지 못했을뿐더러 시신경염의 재발률이 증가</span>했다.
[[ONTT]] 참고
 
정리하면, 시신경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거나, 치료한다면 정맥내 주사 투여를 하고 경구 투여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뇌 MRI에서 다발 경화증
 
=== 혈장 분리 교환술 (plasmapheresis) ===
=== 혈장 분리 교환술 (plasmapheresis) ===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탈수초 시신경염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다만 연구가 많지 않아서 근거가 약하나,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시력 손상을 보이는 시신경염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탈수초 시신경염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다만 연구가 많지 않아서 근거가 약하나,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시력 손상을 보이는 시신경염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