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필로카르핀]] : 제일 먼저 시도해야 할 약물로, 1~2% 용액 한 방울씩을 5~10분 간격으로 3회 정도 투여하고 그 후 하루 4회 점안 간격으로 바꾼다. 경한 발작 시에는 필로카르핀만으로 발작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로카르핀을 너무 자주 점안하는 것은 중독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 * [[필로카르핀]] : 제일 먼저 시도해야 할 약물로, 1~2% 용액 한 방울씩을 5~10분 간격으로 3회 정도 투여하고 그 후 하루 4회 점안 간격으로 바꾼다. 경한 발작 시에는 필로카르핀만으로 발작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로카르핀을 너무 자주 점안하는 것은 중독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 ||
* [[베타 차단제]], [[알파 교감 길항제]] : 발작 발견시 점안한 후 8~12시간의 간격으로 점안한다. | * [[베타 차단제]], [[알파 교감 길항제]] : 발작 발견시 점안한 후 8~12시간의 간격으로 점안한다. | ||
* [[ |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 acetazolamide는 500mg을 경구 투여 또는 정맥 주사한 후 125~250mg을 일 4회 경구 투여한다. | ||
* [[고삼투압 약제]] : 10~20% [[만니톨]]을 1~ | * [[고삼투압 약제]] : 10~20% [[만니톨]]을 1~1.5g/kg 양으로 30분 동안 정맥 주사하거나 [[글리세롤]]을 50% 용액으로 0.7~*5ml/kg 양으로 경구 투여한다.<br />5 스테로이드 : 급성 발작으로 인한 전안부 염증 소견이 심한 경우 1% prednisolone acetate를 하루 4회 투여한다. | ||
이와 같은 약물 투여 후 환자를 누워 있게 하면 수정체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전방각 폐쇄가 풀리는 데에 도움을 준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조치로 안압이 떨어진다. | 이와 같은 약물 투여 후 환자를 누워 있게 하면 수정체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전방각 폐쇄가 풀리는 데에 도움을 준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조치로 안압이 떨어진다. | ||
== 레이저 및 수술적 치료 == | == 레이저 및 수술적 치료 == | ||
급성발작이 약물 치료,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 혹은 전방 천자법 으로 회복되고 각막 부종이 좋아지면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만일 약물치료 후에도 안압이 정상화 되지 않으면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 전방 천자, 산동제-조절마비제 시용, 혹은 섬유주 절제술등 을 적절히 선택하여 시도한다. | 급성발작이 약물 치료,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 혹은 전방 천자법 으로 회복되고 각막 부종이 좋아지면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만일 약물치료 후에도 안압이 정상화 되지 않으면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 전방 천자, 산동제-조절마비제 시용, 혹은 섬유주 절제술등 을 적절히 선택하여 시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