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전안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22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18일 (토)
잔글
25번째 줄: 25번째 줄:
!||독성 전방 증후군||세균성 안내염
!||독성 전방 증후군||세균성 안내염
|-
|-
|발생 시기||비교적 급성 (술 후 12~48시간)|술 후 4~7일
|발생 시기||비교적 급성 (술 후 12~48시간)||술 후 4~7일
|-
|-
|통증||대다수는 호소하지 않음|75% 이상은 호소
|통증||대다수는 호소하지 않음||75% 이상은 호소
|-
|-
|전방의 염증
|전방의 염증
|colspan="2"|심하며 전방 축농이 관찰됨
|colspan="2"|심하며 전방 축농이 관찰됨
|-
|-
|각막||미만성 각막 부종||종종 볼 수 없음
|미만성 각막 부종||||종종 볼 수 없음
|-
|
|}
|}
만약 임상 양상으로 감염성 안내염을 배제할 수 없다면, 전방 천자나 유리체 천자 등을 통해 얻은 샘플을 염색이나 배양을 통해 감염성 안내염인지 확인해 봐야 한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대부분은 가벼운 염증만 보이고 수일 내에 호전되지만, 각막 부종이 심해지고 만성으로 진행되면 각막이식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대부분은 가벼운 염증만 보이고 수일 내에 호전되지만, 각막 부종이 심해지고 만성으로 진행되면 각막이식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참고|백내장}}
{{참고|백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