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홍채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876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23일 (목)
잔글
잔글 (→‎용어)
잔글 (→‎용어)
62번째 줄: 62번째 줄:
* 탄화 (charring) : 레이저의 열 효과에 의해 절개 부위의 홍채 실질 기질이 검게 응고되는 것. 이것이 생기면 더 이상 관통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해진다. penetrating burn 대신에 punch burn을 하면 탄화를 피할 수 있다.
* 탄화 (charring) : 레이저의 열 효과에 의해 절개 부위의 홍채 실질 기질이 검게 응고되는 것. 이것이 생기면 더 이상 관통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해진다. penetrating burn 대신에 punch burn을 하면 탄화를 피할 수 있다.
* landsliding : 홍채 실질 기질과 색소 상피가 일단 관통되면 그 위쪽에서 다른 색소상피가 이동되어 내려온다. 이것을 얿애려 하면 전방으로 색소 방출이 심하게 일어나며 더 많은 색소가 위로부터 내려와 절개 부위가 가끔 막힌다.
* landsliding : 홍채 실질 기질과 색소 상피가 일단 관통되면 그 위쪽에서 다른 색소상피가 이동되어 내려온다. 이것을 얿애려 하면 전방으로 색소 방출이 심하게 일어나며 더 많은 색소가 위로부터 내려와 절개 부위가 가끔 막힌다.
* contraction burn : 광응고반 쪽으로 홍채 조직이 수축되어 실질 기질의 밀도가 증가된다. 낮은 출력, 큰 spot size, 긴 노출 시간이 필요하며 홍채를 변화시켜 색소가 적은 홍채에 레이저 에너지가 잘 흡수되도록 홍채 실질 기질의 밀도를 높이고, penetrating burn이 조사되도록 혹을 만들며 주변 홍채 성형술이나 동공 성형술이 가능하게 한다. 기포가 생기거나 전방에 색소가
* contraction burn : 광응고반 쪽으로 홍채 조직이 수축되어 실질 기질의 밀도가 증가된다. 낮은 출력, 큰 spot size, 긴 노출 시간이 필요하며 홍채를 변화시켜 색소가 적은 홍채에 레이저 에너지가 잘 흡수되도록 홍채 실질 기질의 밀도를 높이고, penetrating burn이 조사되도록 혹을 만들며 주변 홍채 성형술이나 동공 성형술이 가능하게 한다. 기포가 생기거나 전방에 색소가 부유하면 출력을 낮추어야 하며 낮은 출력으로 가능한 갈색 홍채는 200mW로 시작하고, 옅은 색의 홍채는 300mW로 시작하여 출력을 조정한다.
* stretch burn : drum-head 방법에서 쓰이며 contraction burn과 기능은 비슷하지만 작은 출력으로도 홍채 실질 ㄱ질의 밀도가 덜 증가된다.
* penetrating burn : 고출력, 작은 spot size로 홍채 조직을 절개한다. 이것은 색소가 옅거나 보통의 갈색 홍채에서는 효과가 좋으나 매우 짙은 색의 홍채에서는 탄화가 생긴다.
* punch burn : 짙은 색의 홍채에서 charring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penetrating burn보다 열 효과가 적으며 모든 홍채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 cleanup burn : penetrating burn에서 출력을 낮춘 것으로 색소 상피에 도달한 후 쓰인다.


== 치료 방법 ==
== 치료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