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분류)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점탄 물질 (ophthalmic viscosurgical devices; OVD) 은 안과 수술 시 각막 내피세포의 손상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백내장 수술 시 수정체핵 조각이나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각막 내피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전방 유지 등과 같이 안내 공간을 확보하여 안내 수술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출혈을 조절하고 술 중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낭포 황반 부종]]을 줄일 수 있다. | <b>점탄 물질 (ophthalmic viscosurgical devices; OVD)</b> 은 안과 수술 시 각막 내피세포의 손상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백내장 수술 시 수정체핵 조각이나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각막 내피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전방 유지 등과 같이 안내 공간을 확보하여 안내 수술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출혈을 조절하고 술 중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낭포 황반 부종]]을 줄일 수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Arshinoff 는 점탄 물질을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 Arshinoff 는 점탄 물질을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비감염성 안내염 : 점탄 물질의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며, 특히 조직 공학적으로 만든 점탄 물질보다는 생체에서 추출한 점탄 물질이 더 많이 일으킨다. 점탄 물질이 처음 사용되었을 당시에는 25번 주사침을 반복 사용함으로서 주사침 내에 남아 있는 변성된 점탄 물질이 비감염성 안내염을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주사침은 일회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비감염성 안내염 : 점탄 물질의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며, 특히 조직 공학적으로 만든 점탄 물질보다는 생체에서 추출한 점탄 물질이 더 많이 일으킨다. 점탄 물질이 처음 사용되었을 당시에는 25번 주사침을 반복 사용함으로서 주사침 내에 남아 있는 변성된 점탄 물질이 비감염성 안내염을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주사침은 일회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석회화 띠 각막병증 : chondroitin sulfate 등이 들어 있는 점탄 물질을 사용했을 때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 * 석회화 띠 각막병증 : chondroitin sulfate 등이 들어 있는 점탄 물질을 사용했을 때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 ||
{{참고|백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