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근시 (myopia)</b> | <b>근시 (myopia){{사시}}</b> | ||
== 역학 == | == 역학 == | ||
매우 흔한 안과 질환으로서 세계 질병 부담 프로젝트 (Global Burden of Diseases) 에서 한 메타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0년에 전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은 22.9% 였으며, 그 중 2.7%가 고도 근시였다<ref>Holden BA 등, Global Prevalence of Myopia and High Myopia and Temporal Trends from 2000 through 2050. Ophthalmology. 2016 May;123(5):1036-42.</ref>.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높은 유병률을 보였는데, 싱가포르 및 대만의 연구에서 젊은 성인의 근시 유병률을 80~86%까지 보고한 바 있다. 국내의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08~2012) 결과를 이용한 소아 근시 진행 경향 보고에서도 높은 근시 유병률을 보여 5~20세까지 66%가 근시였고, 특히 7~9세 사이에서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빨랐다고 하였다. | 매우 흔한 안과 질환으로서 세계 질병 부담 프로젝트 (Global Burden of Diseases) 에서 한 메타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0년에 전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은 22.9% 였으며, 그 중 2.7%가 고도 근시였다<ref>Holden BA 등, Global Prevalence of Myopia and High Myopia and Temporal Trends from 2000 through 2050. Ophthalmology. 2016 May;123(5):1036-42.</ref>.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높은 유병률을 보였는데, 싱가포르 및 대만의 연구에서 젊은 성인의 근시 유병률을 80~86%까지 보고한 바 있다. 국내의 국민 건강 영양 조사 (2008~2012) 결과를 이용한 소아 근시 진행 경향 보고에서도 높은 근시 유병률을 보여 5~20세까지 66%가 근시였고, 특히 7~9세 사이에서 근시 진행 속도가 가장 빨랐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