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약시 (amblyopia) 는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약시 (amblyopia) 는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매체나 안저 소견이 정상이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일 때를 말한다. 사시, 굴절부등, 형태시 결핍에 의해 시력 저하가 발생하며, 이학적 검사에 이상이 없고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한 상태이다. | 약시 (amblyopia) 는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매체나 안저 소견이 정상이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일 때를 말한다. 사시, 굴절부등, 형태시 결핍에 의해 시력 저하가 발생하며, 이학적 검사에 이상이 없고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한 상태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어린이에서 교정 시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유병률은 전 인구의 약 2.0~2.5%로 추정되나, 정확한 빈도를 아는 것은 어려우며 그 이유는 발생 빈도를 알려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진이 필요하며 검진 대상 집단의 종류, 연령군, 채택한 검사 방법과 시력 정도에 따른 진단 기준, 검사자 숙련도, 약시의 원인 분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ㄷ르어 연령군만 보더라도 시각 발달과 표현력에 따른 영유아나, 좀 더 자랐지만 아직 말을 못하는 어린이, 학동기 어린이에 따라 검사 종류가 달라야 하며, 이 때 검사 종류의 통일성,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자의 숙련도, 약시 진단을 할 때의 시력 또는 시각 기준, 채택한 검사 방법 민감도와 특이도 등 변수가 작용하므로 다른 질환에서 검진을 통해 유병률을 조사하는 것과는 현저하게 다르다. 외국 예를 들면 취학 전 어린이 시력 검진으로 같은 나라인 영국에서도 | 어린이에서 교정 시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유병률은 전 인구의 약 2.0~2.5%로 추정되나, 정확한 빈도를 아는 것은 어려우며 그 이유는 발생 빈도를 알려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진이 필요하며 검진 대상 집단의 종류, 연령군, 채택한 검사 방법과 시력 정도에 따른 진단 기준, 검사자 숙련도, 약시의 원인 분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ㄷ르어 연령군만 보더라도 시각 발달과 표현력에 따른 영유아나, 좀 더 자랐지만 아직 말을 못하는 어린이, 학동기 어린이에 따라 검사 종류가 달라야 하며, 이 때 검사 종류의 통일성,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자의 숙련도, 약시 진단을 할 때의 시력 또는 시각 기준, 채택한 검사 방법 민감도와 특이도 등 변수가 작용하므로 다른 질환에서 검진을 통해 유병률을 조사하는 것과는 현저하게 다르다. 외국 예를 들면 취학 전 어린이 시력 검진으로 같은 나라인 영국에서도 1.6~2.5%의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반면에 스웨덴 12~13세 어린이에서는 1.1%, 5~15세 어린이를 조사한 인도에서는 4.4%였으며, 호주의 40세 이상 성인에서는 3.06%를 보였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정신 물리학 연구 : 약시안에서는 광각과 절대 역치는 정상이나, 기능적으로 중등도 조명 상태와 암순응 상태에서 최대의 기능을 보이며 명순응 상태에서는 가장 나쁘다. 즉, 약시가 되는 것은 정상적인 광각과 손상된 시력 기능의 해리를 나타내는 것이다.<br />시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데는 P와 M 경로로 불리는 두 개의 경로가 있는데, P경로는 시각 해상력과 연관되고, 높은 공간주파수 자극이 정교하게 다듬어지는 작은세포 시피질 영역(parv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고, M 경로는 낮은 공간 주파수를 평가하고 운동 감지에 관여하는 큰세포 시피질 영역(magn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다. 약시에서는 <span style='color:blue;'>P 경로와 M 경로 사이에 해리가 일어나는데 주로 P 경로에 결함</spa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 /><p>2. 전기 생리 연구 | * 정신 물리학 연구 : 약시안에서는 광각과 절대 역치는 정상이나, 기능적으로 중등도 조명 상태와 암순응 상태에서 최대의 기능을 보이며 명순응 상태에서는 가장 나쁘다. 즉, 약시가 되는 것은 정상적인 광각과 손상된 시력 기능의 해리를 나타내는 것이다.<br />시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데는 P와 M 경로로 불리는 두 개의 경로가 있는데, P경로는 시각 해상력과 연관되고, 높은 공간주파수 자극이 정교하게 다듬어지는 작은세포 시피질 영역(parv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고, M 경로는 낮은 공간 주파수를 평가하고 운동 감지에 관여하는 큰세포 시피질 영역(magn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다. 약시에서는 <span style='color:blue;'>P 경로와 M 경로 사이에 해리가 일어나는데 주로 P 경로에 결함</spa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 /><p>2. 전기 생리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