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병태 생리)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 정신 물리학 연구 : 약시안에서는 광각과 절대 역치는 정상이나, 기능적으로 중등도 조명 상태와 암순응 상태에서 최대의 기능을 보이며 명순응 상태에서는 가장 나쁘다. 즉, 약시가 되는 것은 정상적인 광각과 손상된 시력 기능의 해리를 나타내는 것이다.<br />시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데는 P와 M 경로로 불리는 두 개의 경로가 있는데, P경로는 시각 해상력과 연관되고, 높은 공간주파수 자극이 정교하게 다듬어지는 작은세포 시피질 영역(parv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고, M 경로는 낮은 공간 주파수를 평가하고 운동 감지에 관여하는 큰세포 시피질 영역(magn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다. 약시에서는 <span style='color:blue;'>P 경로와 M 경로 사이에 해리가 일어나는데 주로 P 경로에 결함</spa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정신 물리학 연구 : 약시안에서는 광각과 절대 역치는 정상이나, 기능적으로 중등도 조명 상태와 암순응 상태에서 최대의 기능을 보이며 명순응 상태에서는 가장 나쁘다. 즉, 약시가 되는 것은 정상적인 광각과 손상된 시력 기능의 해리를 나타내는 것이다.<br />시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데는 P와 M 경로로 불리는 두 개의 경로가 있는데, P경로는 시각 해상력과 연관되고, 높은 공간주파수 자극이 정교하게 다듬어지는 작은세포 시피질 영역(parv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고, M 경로는 낮은 공간 주파수를 평가하고 운동 감지에 관여하는 큰세포 시피질 영역(magnocellular cortical area)과 연결되어 있다. 약시에서는 <span style='color:blue;'>P 경로와 M 경로 사이에 해리가 일어나는데 주로 P 경로에 결함</spa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전기 생리 연구 | |||
# ERG : 무늬 자극으로 검사했을 때 심한 약시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약시에서 시각 경로에서의 형태학적 변화에 따른 이차적이 망막의 기능 변화로 생각된다. 즉, 이 검사는 망막 전체의 반응이므로 약시의 국소적 이상을 찾을 수 없다. 최근 개발된 국소 망막 전위도도 정상과 명백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 |||
# EOG : 약시 환자에서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망막의 색소상피세포와의 관련성과 도파민계 약물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 |||
# VEP : 흔히 약시안에서는 정상안보다 <span style='color:blue;'>진폭 감소를 보이나 이것은 개인차가 심하고 약시 정도와 일정하게 연관되지는 않으며</span>, 잠복기 연장은 시자극이 시피질로의 전달이 지연되는 것과 관련된다. | |||
# OCT : 주로 황반 또는 중심 오목과 망막 신경섬유층에서의 망막 두께를 측정하여 약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보는 것으로 약시안에서 망막이 의미 있게 두껍다는 연구와 전혀 의의 없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검사 기기가 과거의 TD-OCT에서 SD-OCT로 발전하면서 해상도가 높아져 망막의 미세구조를 알 수 있게 되어 약시 종류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굴절 부등 (구면 또는 원주) > *5D | * 굴절 부등 (구면 또는 원주) > *5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