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1년 6월 4일 (금)
11번째 줄: 11번째 줄:
* ICGA : 초기상에서 <span style='color:blue;'>방사상 형태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과 그 끝 부위의 확장된 결절</span>을 나타내는 원형의 과형광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BVN은 수직으로 주행한다면 파악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절의 수나 크
* ICGA : 초기상에서 <span style='color:blue;'>방사상 형태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과 그 끝 부위의 확장된 결절</span>을 나타내는 원형의 과형광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BVN은 수직으로 주행한다면 파악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절의 수나 크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맥락막 신생 혈관]] : 이 질환의 특징인 결절이 ICGA에서 때로는 모호한 모양을 보이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질환의 빈도가 동양인에서 30~5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진단상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미세혈관류 양상의 과형광이 관찰될 때 이를 결절로 볼지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전형적인 신생혈관도 ICGA에서 분지하는 선형의 이상 혈관과 함께 작은 과형광 반점이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므로, 과형광 반점이 관찰된다
* [[맥락막 신생혈관]] : 이 질환의 특징인 결절이 ICGA에서 때로는 모호한 모양을 보이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질환의 빈도가 동양인에서 30~5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진단상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미세혈관류 양상의 과형광이 관찰될 때 이를 결절로 볼지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전형적인 신생혈관도 ICGA에서 분지하는 선형의 이상 혈관과 함께 작은 과형광 반점이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므로, 과형광 반점이 관찰된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국소 레이저 치료 ===
=== 국소 레이저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