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17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7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약시 (amblyopia)''' 는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매체나 안저 소견이 정상이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일 때를 말한다. 사시, 굴절부등, 형태시 결핍에 의해 시력 저하가 발생하며, 이학적 검사에 이상이 없고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한 상태이다.
'''약시 (amblyopia)''' 는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비정상적인 시자극에 의한 형태시 형성의 결핍이나 양안의 상호 견제 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매체나 안저 소견이 정상이고 신경학적으로도 정상일 때를 말한다. 사시, 굴절부등, 형태시 결핍에 의해 시력 저하가 발생하며, 이학적 검사에 이상이 없고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한 상태이다.
== 역학 ==
== 역학 ==
어린이에서 교정 시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유병률은 전 인구의 약 2.0~2.5%로 추정되나, 정확한 빈도를 아는 것은 어려우며 그 이유는 발생 빈도를 알려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진이 필요하며 검진 대상 집단의 종류, 연령군, 채택한 검사 방법과 시력 정도에 따른 진단 기준, 검사자 숙련도, 약시의 원인 분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령군만 보더라도 시각 발달과 표현력에 따른 영유아나, 좀 더 자랐지만 아직 말을 못하는 어린이, 학동기 어린이에 따라 검사 종류가 달라야 하며, 이 때 검사 종류의 통일성,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자의 숙련도, 약시 진단을 할 때의 시력 또는 시각 기준, 채택한 검사 방법 민감도와 특이도 등 변수가 작용하므로 다른 질환에서 검진을 통해 유병률을 조사하는 것과는 현저하게 다르다. 외국 예를 들면 취학 전 어린이 시력 검진으로 같은 나라인 영국에서도 1.6~2.5%의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반면에 스웨덴 12~13세 어린이에서는 1.1%, 5~15세 어린이를 조사한 인도에서는 4.4%였으며, 호주의 40세 이상 성인에서는 3.06%를 보였다.
어린이에서 교정 시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유병률은 전 인구의 약 2.0~2.5%로 추정되나, 정확한 빈도를 아는 것은 어려우며 그 이유는 발생 빈도를 알려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진이 필요하며 검진 대상 집단의 종류, 연령군, 채택한 검사 방법과 시력 정도에 따른 진단 기준, 검사자 숙련도, 약시의 원인 분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령군만 보더라도 시각 발달과 표현력에 따른 영유아나, 좀 더 자랐지만 아직 말을 못하는 어린이, 학동기 어린이에 따라 검사 종류가 달라야 하며, 이 때 검사 종류의 통일성,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자의 숙련도, 약시 진단을 할 때의 시력 또는 시각 기준, 채택한 검사 방법 민감도와 특이도 등 변수가 작용하므로 다른 질환에서 검진을 통해 유병률을 조사하는 것과는 현저하게 다르다. 외국 예를 들면 취학 전 어린이 시력 검진으로 같은 나라인 영국에서도 1.6~2.5%의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반면에 스웨덴 12~13세 어린이에서는 1.1%, 5~15세 어린이를 조사한 인도에서는 4.4%였으며, 호주의 40세 이상 성인에서는 3.06%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