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38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0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 기질 (organic) 약시 :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위에 언급한 약시를 일으킬만한 눈 이상이 발견되지 않고 세극등 현미경 검사, 검안경 검사 등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span style='color:blue;'>약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span>, 약시 치료를 하면 어느 정도 시력 향상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가역적인 약시가 기질 약시인 비가역적 약시에 중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Kushner는 눈 매체, 망막, 시신경 등 이상이 명백하게 발견되는 기질적 원인에 의한 시력 저하가 있는 환자에서도 상대적 약시가 있어 가림 치료에 반응을 보인다고 하였다.
* 기질 (organic) 약시 :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위에 언급한 약시를 일으킬만한 눈 이상이 발견되지 않고 세극등 현미경 검사, 검안경 검사 등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span style='color:blue;'>약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span>, 약시 치료를 하면 어느 정도 시력 향상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가역적인 약시가 기질 약시인 비가역적 약시에 중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Kushner는 눈 매체, 망막, 시신경 등 이상이 명백하게 발견되는 기질적 원인에 의한 시력 저하가 있는 환자에서도 상대적 약시가 있어 가림 치료에 반응을 보인다고 하였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소아 감각 기능의 발달 특성 상 7~9세의 결정적 시기가 지나면 시각경로 신경계가 이미 고정, 확립되어 약시 치료의 성공률이 떨어진다<ref>Holmes JM et al; PEDIG. Effect of age on response to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11 Nov;129(11):1451-7. [https://pubmed.ncbi.nlm.nih.gov/21746970/ 연결]</ref>.
* 안경 교정 : 굴절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정확한 안경 검사 후에 적절한 도수의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특히 약시안의 안경 도수는 치료를 시작할 때 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반복적으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하여 이에 따라 처방해야 한다. 굴절 부등 약시에서는 단독으로 안경 교정만 해도 시력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약시가 지속되는 경우는 가림 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적어도 <span style='color:blue;'>16주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가림 치료를 시행</span>한 연구가 있으나 가림 치료 전에 안경을 얼마동안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안경 교정 : 굴절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정확한 안경 검사 후에 적절한 도수의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특히 약시안의 안경 도수는 치료를 시작할 때 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반복적으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하여 이에 따라 처방해야 한다. 굴절 부등 약시에서는 단독으로 안경 교정만 해도 시력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약시가 지속되는 경우는 가림 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적어도 <span style='color:blue;'>16주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가림 치료를 시행</span>한 연구가 있으나 가림 치료 전에 안경을 얼마동안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가림 치료 :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다. 또 가림은 두 눈을 뜨고 있을 때 정상안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약시안에 대한 억제 자극을 제거해준다. 이 방법은 약시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언뜻 보기에 간단하고 쉬워 보이지만 실제 임상에서 시행하는 것은 어렵고도 인내를 필요로 하며 환자와 보호자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
* 가림 치료 : 정상안을 가리고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다. 또 가림은 두 눈을 뜨고 있을 때 정상안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약시안에 대한 억제 자극을 제거해준다. 이 방법은 약시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언뜻 보기에 간단하고 쉬워 보이지만 실제 임상에서 시행하는 것은 어렵고도 인내를 필요로 하며 환자와 보호자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