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28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1일 (금)
잔글
32번째 줄: 32번째 줄:
* 스테로이드 점안약, doxycycline 경구 투여 : MMP-9을 억제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이 많으므로 투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 스테로이드 점안약, doxycycline 경구 투여 : MMP-9을 억제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이 많으므로 투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 [[치료 콘택트렌즈]] ===
=== [[치료 콘택트렌즈]] ===
급성기에 효과적이지만 장기 착용 시 세균성각막염과 저산소증의 위험도2가 있고 치료콘택트렌즈 사용만으로 재발을 막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15 Fraunfelder and Cabezas16가 3개월간의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보고하였다.  
급성기에 효과적이지만 장기 착용 시 세균 각막염과 저산소증의 위험도가 있고 치료콘택트렌즈 사용만으로 재발을 막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ref>Williams R et al.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CE. ''BJO''. 1985 Jun;69(6):435-7. [https://pubmed.ncbi.nlm.nih.gov/3873960/ 연결]</ref>, Fraunfelder and Cabezas<ref>Fraunfelder FW et al. Treatment of RCE by EW BCL. ''Cornea''. 2011 Feb;30(2):164-6. [https://pubmed.ncbi.nlm.nih.gov/20847650/ 연결]</ref>가 3개월간의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보고하였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 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각막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완전히 재형성되는데 몇 개월이 소요되는 반결합체의 형성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치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대부분의 상피 벗겨짐이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의 착용이 권유된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 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각막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완전히 재형성되는데 몇 개월이 소요되는 반결합체의 형성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치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대부분의 상피 벗겨짐이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의 착용이 권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