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8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4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Leber hereditary optic neuropathy; LHON)'''{{신경안과}} 은 150년 전부터 알려진, 사립체 DNA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전 시신경 질환 중 하나이다<ref>Newman NJ. Hereditary ONs : from the mitochondria to the optic nerve. ''AJO''. 2005 Sep;140(3):5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6083845/ 연결]</ref>.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Leber hereditary optic neuropathy; LHON)'''{{신경안과}} 은 150년 전부터 알려진, 사립체 DNA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전 시신경 질환 중 하나이다<ref>Newman NJ. Hereditary ONs : from the mitochondria to the optic nerve. ''AJO''. 2005 Sep;140(3):5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6083845/ 연결]</ref>.
== 역학 ==
== 역학 ==
영국 북동부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이 질환에 의한 시력 저하의 유병률은 3.22/100,000명, 사립체 DNA 점 돌연변이의 유병률은 11.82/100,000명 이다. 호주에서는 65세 이하 실명 환자의 약 2%, 원인 불명의 두 눈 실명 환자의 11% 를 차지한다.<br />&nbsp;&nbsp;주로 15~35세 남자에서 발생하지만 여자에서도 생기고, 2세부터 80세까지 발병 연령이 다양하다. 대부분 두 눈을 침범하고, 평균 1.8~2.5개월의 시간 차이를 두고 생기나 동시에 발병하기도 한다. 동시에 발병한 경우에는 먼저 발생한 시력 저하를 환자가 인식하지 못한 경우도 포함된다. 가족력의 빈도는 보고에 따라 다양하다.
영국 북동부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이 질환에 의한 시력 저하의 유병률은 3.22/100,000명<ref>Yu-Wai-Man P et al. The Epidemiology of LHON in the North East of England. ''Am J Hum Genet''. 2016 Jun 2;98(6):1271. [https://pubmed.ncbi.nlm.nih.gov/27259056/ 연결]</ref>, 사립체 DNA 점 돌연변이의 유병률은 11.82/100,000명 이다. 호주에서는 65세 이하 실명 환자의 약 2%, 원인 불명의 두 눈 실명 환자의 11% 를 차지한다.<br />&nbsp;&nbsp;주로 15~35세 남자에서 발생하지만 여자에서도 생기고, 2세부터 80세까지 발병 연령이 다양하다. 대부분 두 눈을 침범하고, 평균 1.8~2.5개월의 시간 차이를 두고 생기나 동시에 발병하기도 한다. 동시에 발병한 경우에는 먼저 발생한 시력 저하를 환자가 인식하지 못한 경우도 포함된다. 가족력의 빈도는 보고에 따라 다양하다.
 
== 병인 ==
== 병인 ==
모계 유전되는 사립체 DNA 점돌연변이가 원인인 질환이다. 사립체는 신체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든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한다. 정자에는 세포질이 없으므로 남자에서는 후대에 전해지지 않고, 여자에서는 후대에 100% 전해진다. 다만 사립체 DNA 점돌연변이가 있어도 항상 발병하지는 않으며 일부, 특히 남자에게 많이 발병한다.{{br}}일차 점돌연변이의 위치는 G11778A (69%), G3460A (13%), T14484C (14%) 가 대표적으로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의 96%가 이 세 부위의 점돌연변이를 보인다. 드물게 C4171A, T0063C, C10063C, C14568T, C14482, A14495G, G14459A, G3733A 등이 일차 점돌연변이 부위로 보고되었다. 그 외 드문 일차 점돌연변이로는 G3376A, G3635A, G3697A, G3700A, G3733A, C4171A, G10197A, T10663C, G13051A, G14459A, C14482A, C14482G, A14495G, T14502C, C14568T 등이 있다. 한국인에서는 G11778A/ND1, G3460A/ND1, T14484ND4, C4171A 부위의 일차 점돌연변이가 보고된 바 있다.
모계 유전되는 사립체 DNA 점돌연변이가 원인인 질환이다. 사립체는 신체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든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한다. 정자에는 세포질이 없으므로 남자에서는 후대에 전해지지 않고, 여자에서는 후대에 100% 전해진다. 다만 사립체 DNA 점돌연변이가 있어도 항상 발병하지는 않으며 일부, 특히 남자에게 많이 발병한다.{{br}}일차 점돌연변이의 위치는 G11778A (69%), G3460A (13%), T14484C (14%) 가 대표적으로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의 96%가 이 세 부위의 점돌연변이를 보인다. 드물게 C4171A, T0063C, C10063C, C14568T, C14482, A14495G, G14459A, G3733A 등이 일차 점돌연변이 부위로 보고되었다. 그 외 드문 일차 점돌연변이로는 G3376A, G3635A, G3697A, G3700A, G3733A, C4171A, G10197A, T10663C, G13051A, G14459A, C14482A, C14482G, A14495G, T14502C, C14568T 등이 있다. 한국인에서는 G11778A/ND1, G3460A/ND1, T14484ND4, C4171A 부위의 일차 점돌연변이가 보고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