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8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위험 인자)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i>C. albicans</i> 가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i>C. tropicalis</i>, <i>C. parapilosis</i>, <i>C. glabrata</i>, <i>C. guilliermondii</i>, <i>C. krusei</i> 등도 안내염을 일으킨다. | <i>C. albicans</i> 가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i>C. tropicalis</i>, <i>C. parapilosis</i>, <i>C. glabrata</i>, <i>C. guilliermondii</i>, <i>C. krusei</i> 등도 안내염을 일으킨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당뇨나 암, 혈액 투석, HIV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면역 저하 질환 및 전신 면역 억제제의 사용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당뇨나 암, 혈액 투석, HIV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면역 저하 질환 및 전신 면역 억제제의 사용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ref>Sridhar J et al.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mold and yeast infection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3 Sep 20;3(1):60. [https://pubmed.ncbi.nlm.nih.gov/24053550/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특징적인 소견은 하나 이상의 경계가 명확한 우유빛 맥락망막 병변이 후극부에 존재하는데 크기는 1mm 이하인 경우가 많고, 연접한 유리체에도 염증이 동반되어 혼탁이 관찰된다. 간혹 노란 깃털 모양의 유리체 혼탁이 염증 덩어리와 연결되거나 망막하 농양이 관찰되기도 한다. | 특징적인 소견은 하나 이상의 경계가 명확한 우유빛 맥락망막 병변이 후극부에 존재하는데 크기는 1mm 이하인 경우가 많고, 연접한 유리체에도 염증이 동반되어 혼탁이 관찰된다. 간혹 노란 깃털 모양의 유리체 혼탁이 염증 덩어리와 연결되거나 망막하 농양이 관찰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