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디다 안내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0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15일 (목)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i>C. albicans</i> 가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i>C. tropicalis</i>, <i>C. parapilosis</i>, <i>C. glabrata</i>, <i>C. guilliermondii</i>, <i>C. krusei</i> 등도 안내염을 일으킨다.
<i>C. albicans</i> 가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i>C. tropicalis</i>, <i>C. parapilosis</i>, <i>C. glabrata</i>, <i>C. guilliermondii</i>, <i>C. krusei</i> 등도 안내염을 일으킨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당뇨나 암, 혈액 투석, HIV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면역 저하 질환 및 전신 면역 억제제의 사용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ref>Sridhar J et al.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mold and yeast infection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3 Sep 20;3(1):60. [https://pubmed.ncbi.nlm.nih.gov/24053550/ 연결]</ref>.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당뇨나 암, 혈액 투석, HIV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면역 저하 질환 및 전신 면역 억제제의 사용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ref>Sridhar J et al.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mold and yeast infection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3 Sep 20;3(1):60. [https://pubmed.ncbi.nlm.nih.gov/24053550/ 연결]</ref><ref>Sakata R et al. Fungal endophthalmitis in an elderly woman: differing responses in each eye. ''Int Med Case Rep J''. 2017 Jun 8;10:189-192. [https://pubmed.ncbi.nlm.nih.gov/28652824/ 연결]</ref>.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