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혈관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21일 (수)
잔글
 
22번째 줄: 22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 신생혈관 전단계 (pre-rubeosis stage) : 초기의 징후는 동공연에 이는 작은 신생혈관이다. 아주 미세한 신생혈관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쉽게 놓칠 수 있으며, 홍채의 색소층이 아주 짙은 경우에는 짙은 색소 때문에 잘 안 보이기도 하므로 망막의 이상을 검사할 경우에는 반드시 산동하기 전에 고배율로 동공연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홍채 신생혈관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전방각경으로 검사 시 렌즈에 약간만 힘을 가해도 신생혈관이 축소되어 안 보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신생혈관 전단계 (pre-rubeosis stage) : 초기의 징후는 동공연에 이는 작은 신생혈관이다. 아주 미세한 신생혈관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쉽게 놓칠 수 있으며, 홍채의 색소층이 아주 짙은 경우에는 짙은 색소 때문에 잘 안 보이기도 하므로 망막의 이상을 검사할 경우에는 반드시 산동하기 전에 고배율로 동공연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홍채 신생혈관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전방각경으로 검사 시 렌즈에 약간만 힘을 가해도 신생혈관이 축소되어 안 보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녹내장 전단계 (pre-glaucoma stage) : 안압은 정상이지만 홍채 혈관신생이 관찰되는 단계이다. 신생 혈관은 당뇨병이나 망막 중심 정맥 폐쇄[/a]의 경우 전방각에서 처음 발견될 수 있지만, 대부분 동공연에서 처음 발견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전방각경 검사를 시행하면, 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동공연의 신생혈관이 관찰되지 않았는데도 전방각에서 신생혈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동공연과 함께 전방각의 신생혈관의 발생 여부를 같이 관찰하여야 한다. 조직학적으로는 처음에는 홍채 간질에서 시작하여 표면부로 진행하게 된다.
# 녹내장 전단계 (pre-glaucoma stage) : 안압은 정상이지만 홍채 혈관신생이 관찰되는 단계이다. 신생 혈관은 당뇨병이나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경우 전방각에서 처음 발견될 수 있지만, 대부분 동공연에서 처음 발견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전방각경 검사를 시행하면, 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동공연의 신생혈관이 관찰되지 않았는데도 전방각에서 신생혈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동공연과 함께 전방각의 신생혈관의 발생 여부를 같이 관찰하여야 한다. 조직학적으로는 처음에는 홍채 간질에서 시작하여 표면부로 진행하게 된다.
# 개방각 녹내장 : 홍채 신생혈관이 신생혈관 녹내장을 반드시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당뇨 망막병증에서 보이는 홍채 혈관신생이 있을 때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응 13~41%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의 두드러진 조직학적 소견은 홍채 전면과 전방각의 섬유혈관막이며 이와 더불어 염증 반응, 때때로 전방 출혈도 동반할 수 있는데, 녹내장은 이러한 섬유혈관막이 섬유주를 막거나 염증이나 출혈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개방각 녹내장 : 홍채 신생혈관이 신생혈관 녹내장을 반드시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당뇨 망막병증에서 보이는 홍채 혈관신생이 있을 때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응 13~41%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의 두드러진 조직학적 소견은 홍채 전면과 전방각의 섬유혈관막이며 이와 더불어 염증 반응, 때때로 전방 출혈도 동반할 수 있는데, 녹내장은 이러한 섬유혈관막이 섬유주를 막거나 염증이나 출혈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폐쇄각 녹내장 단계 : 이 시기에 홍채의 간질은 편평해지고, 포도막 외반이 보일 수 있으며 홍채가 확장되면서 수정체가 전방 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전방각에서 섬유혈관막 수축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하여 결국 전방각의 완전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녹내장은 매우 심각하며, 수술적 치료를 요하게 된다. 임상적으로 홍채 혈관신생 소견은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시기에는 섬유혈관막의 근섬유모세포의 역할이 크다.
# 폐쇄각 녹내장 단계 : 이 시기에 홍채의 간질은 편평해지고, 포도막 외반이 보일 수 있으며 홍채가 확장되면서 수정체가 전방 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전방각에서 섬유혈관막 수축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하여 결국 전방각의 완전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녹내장은 매우 심각하며, 수술적 치료를 요하게 된다. 임상적으로 홍채 혈관신생 소견은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시기에는 섬유혈관막의 근섬유모세포의 역할이 크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안압은 주변 홍채앞 유착이 심하면 높지만, 경동맥 폐쇄에 의한 신생혈관에서는 정상이거나 낮을 수 있다. 홍채 신생혈관이 진행하여 완전 폐쇄각으로 되는 기간은 수일에서 몇년까지 일정치 않으나, 일반적으로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후 오는 녹내장이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더 빨리 나타나고 더욱 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홍채 혈관신생은 어느 시기에서도 진행이 멈추거나 사라질 수 있지만, 유착에 의한 폐쇄각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안압은 주변 홍채앞 유착이 심하면 높지만, 경동맥 폐쇄에 의한 신생혈관에서는 정상이거나 낮을 수 있다. 홍채 신생혈관이 진행하여 완전 폐쇄각으로 되는 기간은 수일에서 몇년까지 일정치 않으나, 일반적으로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후 오는 녹내장이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더 빨리 나타나고 더욱 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홍채 혈관신생은 어느 시기에서도 진행이 멈추거나 사라질 수 있지만, 유착에 의한 폐쇄각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범망막 광응고술 : 일단 발견하면 시행하여야 한다. 800㎛ 크기로 1,500에서 2,000번 이상을 조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광응고가 어떤 기전에 의해 좋은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아직 불명확하나, 망막의 허혈이 전안부의 신생혈관 형성에 필수적이므로, 범망막 광응고로 망막을 파괴하면 혈관 생성 인자의 생산이 감소하여 망막의 산소 필요를 줄이고 망막 내층의 허혈 상태가 호전되어 혈관 신생 인자의 자극을 줄여 혈관 신생을 감소시킨다.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은 경우, 즉 망막 모세혈관의 비관류가 광범위하게 있거나 수정체 절제술을 받고, 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있거나 열공 망막 박리가 동반된 경우 예방적 목적으로 반드시 범망막 광응고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백내장이나 유리체 혼탁이 있어 수술 후 유리체 출혈이 생길 우려가 있을 때와 수술 전에 범망막 광응고를 할 수 없을 경우에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아르곤이나 제논을 이용한 눈속 광응고를 함으로써 진행을 막을 수 있다.
* 범망막 광응고술 : 일단 발견하면 시행하여야 한다. 800㎛ 크기로 1,500에서 2,000번 이상을 조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광응고가 어떤 기전에 의해 좋은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아직 불명확하나, 망막의 허혈이 전안부의 신생혈관 형성에 필수적이므로, 범망막 광응고로 망막을 파괴하면 혈관 생성 인자의 생산이 감소하여 망막의 산소 필요를 줄이고 망막 내층의 허혈 상태가 호전되어 혈관 신생 인자의 자극을 줄여 혈관 신생을 감소시킨다.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은 경우, 즉 망막 모세혈관의 비관류가 광범위하게 있거나 수정체 절제술을 받고, 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있거나 열공 망막 박리가 동반된 경우 예방적 목적으로 반드시 범망막 광응고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백내장이나 유리체 혼탁이 있어 수술 후 유리체 출혈이 생길 우려가 있을 때와 수술 전에 범망막 광응고를 할 수 없을 경우에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아르곤이나 제논을 이용한 눈속 광응고를 함으로써 진행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