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T: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8월 9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결론)
 
13번째 줄: 13번째 줄:
이후 1997년까지 검사를 시행하여 10년 후 (337명, 74%) 와 15년 후 (294명, 65%) 결과를 보고하였다. 15년 후 시신경염이 있던 눈 중 72%가 1.0 이상의 시력을 보였고, 66%가 두 눈 시력이 1.0 이상이었다. 다발 경화증이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는 환자보다 시기능이 더 나쁘고 삶의 질도 낮았다.
이후 1997년까지 검사를 시행하여 10년 후 (337명, 74%) 와 15년 후 (294명, 65%) 결과를 보고하였다. 15년 후 시신경염이 있던 눈 중 72%가 1.0 이상의 시력을 보였고, 66%가 두 눈 시력이 1.0 이상이었다. 다발 경화증이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는 환자보다 시기능이 더 나쁘고 삶의 질도 낮았다.
== 결론 ==
== 결론 ==
정리하면, 시신경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거나, 치료한다면 정맥내 주사 투여를 하고 경구 투여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뇌 MRI에서 다발 경화증의 위험 요소로 알려진 변화가 관찰되는 환자에서는 정맥내 주사 투여가 2년간이나마 다발 경화증의 발병 위험을 낮추므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외의 환자에서는 이상의 효과와 함께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의 부작용을 알려주고 환자에게 선ㅌ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리하면, 시신경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거나, 치료한다면 정맥내 주사 투여를 하고 경구 투여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뇌 MRI에서 다발 경화증의 위험 요소로 알려진 변화가 관찰되는 환자에서는 정맥내 주사 투여가 2년간이나마 다발 경화증의 발병 위험을 낮추므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외의 환자에서는 이상의 효과와 함께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의 부작용을 알려주고 환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