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11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료)
14번째 줄: 14번째 줄: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환자의 면역 상태 혹은 망막의 국소적인 요인에 의한다고 여겨진다. 특징적으로 망막염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작은 위성 병변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병변이 커질수록 중심부 병변은 비활동성인 회색의 위축성 병변을 보이며 망막 및 색소상피의 위축이 나타난다. 이는 [[급성 망막 괴사]]에서 병변의 진행이 매우 빨리 중심부에 비활동성의 위축성 병변을 관찰하기 어려운 것과 대조되는 소견이다. AIDS 환자에서는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span style='color:blue;'>유리체 염증이나 전안부 염증은 심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span>.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환자의 면역 상태 혹은 망막의 국소적인 요인에 의한다고 여겨진다. 특징적으로 망막염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작은 위성 병변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병변이 커질수록 중심부 병변은 비활동성인 회색의 위축성 병변을 보이며 망막 및 색소상피의 위축이 나타난다. 이는 [[급성 망막 괴사]]에서 병변의 진행이 매우 빨리 중심부에 비활동성의 위축성 병변을 관찰하기 어려운 것과 대조되는 소견이다. AIDS 환자에서는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span style='color:blue;'>유리체 염증이나 전안부 염증은 심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span>.
== 치료 ==
== 치료 ==
HAART의 도입은 임상 양상 및 예후에 큰 영향을 줬다. 망막염의 발생률이 75% 이상 줄었고, 망막염의 진행이 느려졌으며, 기회 감염의 발생이 감소함으로 인해 감염에 의한 사망율도 감소하였다. 혈액 내 CD4+ 림프구 수가 50/mm³이상일
HAART의 도입은 임상 양상 및 예후에 큰 영향을 줬다. 망막염의 발생률이 75% 이상 줄었고, 망막염의 진행이 느려졌으며, 기회 감염의 발생이 감소함으로 인해 감염에 의한 사망율도 감소하였다. 혈액 내 CD4+ 림프구 수가 50/mm³ 이상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