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8
번
(새 문서: '''잠재 시력 검사 (potential acuity test)'''{{망막}} 는 백내장 검사에서의 적용으로 인하여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백내장 수술 시 대부분은 정...)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종류 == | == 종류 == | ||
=== 간섭계 (interferometer) === | === 간섭계 (interferometer) === | ||
레이저 또는 백색광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응집광으로 나누고, 이들이 망막 내에 3차원적인 간섭 무늬 (interference fringe) 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이것으로 측정되는 시력은 각 무늬 사이의 공간을 인지하여 그 방향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간섭 무늬들 사이의 더 작은 공간을 인지할수록 잠재 시력은 높아지게 된다. 완전히 혼탁된 매질은 통과하지 못하나, 부분적으로 깨끗한 부위가 있으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굴절 이상은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질 안의 혼탁은 빛을 산란시켜 가시력을 감소시킨다. | [[레이저 간섭계|레이저]] 또는 백색광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응집광으로 나누고, 이들이 망막 내에 3차원적인 간섭 무늬 (interference fringe) 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이것으로 측정되는 시력은 각 무늬 사이의 공간을 인지하여 그 방향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간섭 무늬들 사이의 더 작은 공간을 인지할수록 잠재 시력은 높아지게 된다. 완전히 혼탁된 매질은 통과하지 못하나, 부분적으로 깨끗한 부위가 있으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굴절 이상은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질 안의 혼탁은 빛을 산란시켜 가시력을 감소시킨다. | ||
특이도보다 민감도가 좋으나, 망막 색소상피 박리, 지도형 위축, 낭포 황반 부종, 황반 원공을 가진 환자에서는 잠재 시력이 과대 평가된다. | 특이도보다 민감도가 좋으나, 망막 색소상피 박리, 지도형 위축, 낭포 황반 부종, 황반 원공을 가진 환자에서는 잠재 시력이 과대 평가된다. | ||
=== [[잠재 시력 측정기]] === | === [[잠재 시력 측정기]] === | ||
시력표를 작은 구멍을 통하여 망막 위에 영사하는 방법으로 굴절 이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간섭계와 마찬가지로 매질의 깨끗한 창을 통하여 망막에 도달하게 된다. | 시력표를 작은 구멍을 통하여 망막 위에 영사하는 방법으로 굴절 이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간섭계와 마찬가지로 매질의 깨끗한 창을 통하여 망막에 도달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