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보조제 복용) |
잔글 (→세포 치료)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세포 치료 === | === 세포 치료 === | ||
망막 전구 세포, 배아 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 등의 세포를 유리체강이나 망막 아래 공간에 주입하는 치료를 의미한다. 세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태아 망막 이식편을 망막변성 쥐 모델에 이식하여 중뇌의 상구에서 치료에 따른 반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VEP의 생성을 관찰한 예도 있다. | 망막 전구 세포, 배아 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 등의 세포를 유리체강이나 망막 아래 공간에 주입하는 치료를 의미한다. 세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태아 망막 이식편을 망막변성 쥐 모델에 이식하여 중뇌의 상구에서 치료에 따른 반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VEP의 생성을 관찰한 예도 있다. | ||
=== 인공 망막 === | |||
망막의 시세포 기능을 대체할 인공 망막을 안구 내에 이식하는 치료는 상용화되기도 하였으며 개선을 위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망막 아래에 삽입하거나 망막 위에 삽입하는데 인공 망막 삽입 치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망막에서 감지한 신호를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기능의 유지가 요구된다. | |||
=== 광유전학 === | |||
시세포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세포가 아니고 다른 망막 세포를 사용하여 시세포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광유전학 기술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용체를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서 다른 세포에서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 광유전학 기술의 요체이다. | |||
=== 기타 === | |||
이외에도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ciliary neurotrophic factor (CNDF),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nerve growth factor (NGF), rod-derived cone variability factor (rdVCF) 등의 성장인자를 사용하여 망막세포의 변성을 지연시키는 방안도 시도되고 있다. | |||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