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유출 장치: 두 판 사이의 차이

4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8월 25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 관-각막 접촉 : 심각한 합병증으로 대부분 수술 직후에 발생하며, 보통 시축을 벗어나 있으면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때로는 각막 내피의 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미만성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관-각막 접촉 : 심각한 합병증으로 대부분 수술 직후에 발생하며, 보통 시축을 벗어나 있으면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때로는 각막 내피의 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미만성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관-홍채 접촉 : 관의 끝이 홍채 조직으로 인하여 폐쇄되어서 수술의 조기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아르곤 레이저나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막힌 실리콘관의 입구를 열어주어 방수가 유출되도록 한다.
* 관-홍채 접촉 : 관의 끝이 홍채 조직으로 인하여 폐쇄되어서 수술의 조기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아르곤 레이저나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막힌 실리콘관의 입구를 열어주어 방수가 유출되도록 한다.
* 관-수정체 접촉 :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내) 인공수정체와[/a]의 접촉은 인공수정체 탈구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관-수정체 접촉 :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내) 인공수정체와의 접촉은 인공수정체 탈구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관-유리체면 접촉 : 관의 폐쇄로 수술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관-유리체면 접촉 : 관의 폐쇄로 수술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저안압 :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이 전방내로 더 밀려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동공을 가릴 수도 있으며, 고식적 여과 수술과 마찬가지로 맥락막 삼출이나 맥락막 위공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저안압 :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이 전방내로 더 밀려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동공을 가릴 수도 있으며, 고식적 여과 수술과 마찬가지로 맥락막 삼출이나 맥락막 위공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