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낭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93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3일 (목)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후낭을 관찰하면서 긴장선 (tension line) 이 있는지를 관찰한다. 긴장선이 있다면 이에 수직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초기에 개구부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먼저 12시 방향에서 초기 빔을 발사한 다음 6시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레이저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3, 9시 방향으로 개구부를 늘려간다. 만약 동공 영역에 절개 피판이 남아있다면 피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후퇴하게 하거나 뒤쪽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후낭을 관찰하면서 긴장선 (tension line) 이 있는지를 관찰한다. 긴장선이 있다면 이에 수직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초기에 개구부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먼저 12시 방향에서 초기 빔을 발사한 다음 6시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레이저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3, 9시 방향으로 개구부를 늘려간다. 만약 동공 영역에 절개 피판이 남아있다면 피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후퇴하게 하거나 뒤쪽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 통조림 따개 (can-opener) ===
=== 통조림 따개 (can-opener) ===
주변부 아래만 전낭과 이어지도록 둥글게 피판을  
주변부 아래만 전낭과 이어지도록 둥글게 피판을 만들어 뒤쪽으로 넘기는 방법이다. 피판 아래가 떨어져서 뒤로 넘어가서 유리체에 남아있다면 시력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 크리스마스 트리 (christmas tree)
=== 크리스마스 트리 (christmas tree) ===
12시 방향에서부터 레이저를 조사하다가 지속적으로 인공수정체에 레이저 자국이 만들어진다면 조사 방법을 바꾸는 것이 좋다. 6시 방향 아래로 전진하는 대신에 코쪽과 귀쪽, 두 갈래로 나누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시축으로의 직접 조사를 피한다.
== 시술 후 관리 ==
레이저 조사 직후 알파2 길항제 ([[브리모니딘]], [[아프라클로니딘]]) 나 [[베타 차단제]]를 점안하고, 안압 상승의 위험 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시술 1시간 후 다시 점안한다. 일부에서 수술 후 홍채염이 발생하므로, 술자에 따라 시술 후 1주 정도 점안 스테로이드나 조절 마비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 합병증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