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낭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2,29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3일 (목)
잔글
43번째 줄: 43번째 줄:
== 합병증 ==
== 합병증 ==
=== 안압 상승 ===
=== 안압 상승 ===
레이저 시술 후 15~67%에서 10mmHg 이상의 안압 상승이 관찰되었다.
레이저 시술 후 15~67%에서 10mmHg 이상의 안압 상승이 관찰되었다. 안압은 시술 직후 상승하기 시작하여 3~4시간 후 최고조에 이르며 24시간째 감소한다. 레이저 시술 후 안압 상승의 위험 인자는 녹내장을 가진 환자, 후낭 절개의 크기, 후방 인공수정체가 없는 경우, 후방 인공수정체를 섬모체 고랑에 삽입한 경우, 사용된 전체 에너지 양, 근시, 기존의 유리체-망막 질환 등이다.
 
안압 상승은 후낭 조각, 급성 염증 반응, 액화된 유리체, 그리고 shock wave에 의한 섬유주의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한다. 드물게 공막 절개 부위로 유리체의 감돈, [[신생혈관 녹내장]], 또는 동공 차단에 의해 녹내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 인공수정체 손상 ===
레이저 후 15~33% 에서 인공수정체 레이저 손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에서 자국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드물게 눈부심, 시력 감소 등을 유발하며 이 경우 인공수정체를 제거해야 한다. 레이저에 의한 인공수정체 손상은 삽입된 인공수정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유리 : 레이저에 의해 균열된다.
* PMMA : 금이 가고 방사상의 균열을 동반한 중심 결손이 생긴다.
* 실리콘 : 기포의 발생과 함께 국소적인 패임이 발생한다.
* 아크릴 : 실리콘 인공수정체에 비해 손상을 적게 받는다.
광학부의 융기를 가진 인공수정체는 후면이 볼록하여 후낭과 완전한 접착을 이루는 인공수정체보다 레이저 조사 시 손상을 덜 받는다.
=== [[낭포 황반 부종]] ===
시술 후 3주~11개월 째 0.55~2,5% 에서 발생한다.
=== 망막 박리 ===
레이저 시술 후 망막 박리는 0.08~3.6% 에서 발생한다. 위험 인자로는 근시, 반대쪽 눈의 망막 박리 과거력, 젊은 나이, 남자 등이 있다.
=== 안내염 ===
레이저 시술 후 ''Propionibacterium acnes'' 에 의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 후낭 절개를 통하여 낭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유리체에 도달하여 안내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국소적인 형태로 발생한다.
=== 기타 합병증 ===
인공수정체의 위치 이탈, 홍채염, 황반 원공, 각막 내피세포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