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64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4일 (금)
잔글
잔글 (→‎병인)
3번째 줄: 3번째 줄: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 병인 ==
== 병인 ==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ref>Heriot WJ et al. Pigment epithelial repair.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2;230(1):91-100. [https://pubmed.ncbi.nlm.nih.gov/1547975/ 연결[</ref>,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 발생 ==
== 발생 ==
앞 PVR은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에서부터 앞쪽으로 형성되는 수축성 세포막에 의한 유리체 망막 병증으로 정의한다. 병증의 범위는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 망막에서부터 섬모체,홍채의 후면, 동공경계 그리고 심지어 각막까지 앞으로 뻗칠 수 있다. 세포막이 앞으로 수축하면 주변 망막이 앞쪽으로 당겨져 안구 적도부와 평 행되게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만들어지고, 섬모체와의 사이에는 골이 생기며, 골에서부터 뻗치는 부챗살 모양의 방사선 망막 주름이 형성된다.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중앙으로 더욱 수축하여 좁아져 뒤쪽 망막이 당겨지면 여러 크기의 깔때기 모양 전망막 박리 형태를 취하게 된다.
앞 PVR은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에서부터 앞쪽으로 형성되는 수축성 세포막에 의한 유리체 망막 병증으로 정의한다. 병증의 범위는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 망막에서부터 섬모체,홍채의 후면, 동공경계 그리고 심지어 각막까지 앞으로 뻗칠 수 있다. 세포막이 앞으로 수축하면 주변 망막이 앞쪽으로 당겨져 안구 적도부와 평 행되게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만들어지고, 섬모체와의 사이에는 골이 생기며, 골에서부터 뻗치는 부챗살 모양의 방사선 망막 주름이 형성된다.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중앙으로 더욱 수축하여 좁아져 뒤쪽 망막이 당겨지면 여러 크기의 깔때기 모양 전망막 박리 형태를 취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