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7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4일 (금)
잔글
잔글 (→‎병인)
잔글 (→‎병인)
3번째 줄: 3번째 줄: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망막 박리 수술의 5~10%에서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에서 증식 조직이 빨리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3개월 내</span> 발생하는데, 특히 2개월째가 위험성이 최대로 커지는 시기이다.
== 병인 ==
== 병인 ==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ref>Heriot WJ et al. Pigment epithelial repair.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2;230(1):91-100. [https://pubmed.ncbi.nlm.nih.gov/1547975/ 연결[</ref>,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ref>Heriot WJ et al. Pigment epithelial repair.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2;230(1):91-100. [https://pubmed.ncbi.nlm.nih.gov/1547975/ 연결[</ref><ref>Anderson DH et al. The onset of pigment epithelial proliferation after RD. ''IOVS''. 1981 Jul;21(1 Pt 1):10-6. [https://pubmed.ncbi.nlm.nih.gov/7251293/ 연결]</ref>,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 발생 ==
==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