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진단 기준 == | == 진단 기준 == | ||
=== 국제 연구회 (international study group) === | === 국제 연구회 (international study group) === | ||
일년간 적어도 3회 이상 재발성 구강 궤양에 다음 중 2가지 증상이 동반될 때 | 일년간 적어도 3회 이상 재발성 구강 궤양에 다음 중 2가지 증상이 동반될 때 | ||
1. 재발성 외음부 궤양 | |||
2. 눈 증상 | |||
3. 피부 증상 | |||
4. 피부 과민성 반응 검사 (pathergy test) 양성 | |||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1990년에 베체트병 국제 연구 그룹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 Disease) 에서 만든 기준이다.8 0| 기준은 재발성 구강 궤양을 반드시 필요한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였는데,진단보다는 분류를 목적으로 만 들어졌고, 증상의 유병률을 고려하지 않아서 베체트병 초기에는 이 기준을 이용하여 진단내리기가 어려울수 있다. 또, 주로 중동 환자들의 증상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서 지역적인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였고,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 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조군에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여 감별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그 이전에 만들어졌던 진단 기준을 포함한 여러 다른 기준들이 아직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 |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1990년에 베체트병 국제 연구 그룹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 Disease) 에서 만든 기준이다.8 0| 기준은 재발성 구강 궤양을 반드시 필요한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였는데,진단보다는 분류를 목적으로 만 들어졌고, 증상의 유병률을 고려하지 않아서 베체트병 초기에는 이 기준을 이용하여 진단내리기가 어려울수 있다. 또, 주로 중동 환자들의 증상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서 지역적인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였고,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 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조군에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여 감별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그 이전에 만들어졌던 진단 기준을 포함한 여러 다른 기준들이 아직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