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ICGA) |
잔글 (→ICGA)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잠복 맥락막혈관신생과 매우 비슷 하지만, 어떤 치료도 받지 않은 증례에서는 활동성 결절을 제외하고는 누출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 잠복 맥락막혈관신생과 매우 비슷 하지만, 어떤 치료도 받지 않은 증례에서는 활동성 결절을 제외하고는 누출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 ||
=== ICGA === | === ICGA === | ||
이상혈관이 가장 잘 나타나며, 초기에 방사상 형태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 (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 과 그 끝 부위의 확장된 결절 (polypoidal dilatation) 을 나타내는 원형의 과형광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BVN은 수직으로 주행한다면 파악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절의 수나 크기, 형태는 다양하며, 한 가지에 한 개에 서부터 포도송이처럼 여러 개가 뭉쳐 있을 수 있다. 결절은 초기상에서는 다양한 내부 혈관 구조를 보이기 도하며, 후기 상에 균일한 과형광을 띤다. | 이상혈관이 가장 잘 나타나며, 초기에 방사상 형태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 (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 과 그 끝 부위의 확장된 결절 (polypoidal dilatation) 을 나타내는 원형의 과형광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BVN은 수직으로 주행한다면 파악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절의 수나 크기, 형태는 다양하며, 한 가지에 한 개에 서부터 포도송이처럼 여러 개가 뭉쳐 있을 수 있다. 결절은 초기상에서는 다양한 내부 혈관 구조를 보이기 도하며, 후기 상에 균일한 과형광을 띤다<ref>Yuzawa M et al. The origins of PCV. ''BJO''. 2005 May;89(5):602-7. [https://pubmed.ncbi.nlm.nih.gov/15834093/ 연결]</ref>. BVN 부위는 약하게 염색되어 과형광을 나타내며, 굵은 혈관은 색소가 빠져나가면서 중심부는 저형광을 보일 수도 있다<ref>Kim JH et al. Structure of PCV studied by colocalization between tomographic and angiographic lesions. ''AJO''. 2013 Nov;156(5):974-980.e2. [https://pubmed.ncbi.nlm.nih.gov/23958701/ 연결]</ref>. ICGA에서 미세혈관류 양상의 작은 과형광이 관찰될 때 이를 결절로 볼 지 판단하기 모호한 경우가 적지 않다. 크기가 작아도 선형 혈관의 끝에 원형의 과형광이 위치한다면 일단 PCV로 진단할수 있다. | ||
=== SD-OCT === | === SD-OC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