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 SDD)'''{{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된 것으로,연구자에 따라 망상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망상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망상 드루젠(reticular drusen) 등으로도 불리운다. |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 SDD)'''{{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된 것으로,연구자에 따라 망상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망상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망상 드루젠(reticular drusen) 등으로도 불리운다. | ||
== 발생 기전 == | |||
명확하지 않으며, 맥락막의 두께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아서 맥락막의 이상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
== [[나이 관련 황반변성|AMD]]와의 관련성 == | |||
기존에 AMD의 특징으로 알려진 황반부 색소 이상 (과색소 병변 혹은 저색소 병변) 또는 [[드루젠]] ([[경성 드루젠|경성]] 혹은 [[연성 드루젠]]) 과는 독립적으로, AMD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