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보체계 억제) |
잔글 (→시각 주기 조절제)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일차 결과에서 기존의 AREDS 식이에 루테인과 제아잔틴,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지방산 (DHA, EPA) 을 추가하는 것이 AMD의 발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단, 루테인과 제아잔틴, DHA, EPA를 제일 적게 섭취하는 군에서는 진행된 AMD로의 진행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β-카로틴을 없애거나 아연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진행된 AMD로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흡연자들에 있어서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β-카로틴의 대체 섭취물로 적절할 것이라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일차 결과에서 기존의 AREDS 식이에 루테인과 제아잔틴,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지방산 (DHA, EPA) 을 추가하는 것이 AMD의 발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단, 루테인과 제아잔틴, DHA, EPA를 제일 적게 섭취하는 군에서는 진행된 AMD로의 진행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β-카로틴을 없애거나 아연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진행된 AMD로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흡연자들에 있어서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β-카로틴의 대체 섭취물로 적절할 것이라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 ||
== 시각 주기 조절제 == | == 시각 주기 조절제 == | ||
시각 주기 조절제 (visual cycle inhibitor) 는 RPE에서 A2E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와 같은 독성 형광 물질의 축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 |||
=== Fenretinide === | |||
fenretinide (ReVision Therapeutics, Inc” San Diego, CA, USA)는 합성 비 타빈 A 유도체로, 용량 의존적으로 혈청 레티놀결합단백 질(retinol binding protein, RBP)을 감소시켜 눈으로의 레티 놀 전달을 감소시킨다 75 경구 fenretinide의 임상시험에서 246명의 환자들은 위약 또는 100 mg, 300 mg의 fenretinide 를 24개월간 복용하였는데, 안저사진을 통한 GA 병변을 분석했을 때,300 mg fenretinide 투여군에서 특히 혈청 RBP가 ≤ 2 mg/dL 일 때 병변의 성장이 느려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1.70±0.77 mm²/y vs. 2.03±1.24 mm²/y, ''p''=0.1848). 또한, 위약군은 82명 중 15명에서 CNV가 생긴 반면, fenretinide군은 163명 중 15명에서 발생하였다 (''p''=0.06) (NCT00429936).76 | |||
=== Emixustat === | |||
emixustat (Acucela, Seattle, WA, USA)는 RPE65 를 차단함으로써 all-trans-retinyl ester 의 11-cis-retinol 로의 변환을 억제하여 시각 주기의 독성 대사산물을 감소시키는 경구 투여 화합물이다. 4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75 mg 까지 용량 의존적인 ERG b파의 억제를 보였다.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의 50%에서 시각과 관련된 이상 반응이 나타났으며, 색각 이상 (32%) 과 야맹증 (18%),시야 흐림 (11%) 등이 있었다 (NCT00942240).77 | |||
72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54명은 emixustat을 투여받고 18명은 위약을 3개월간 투여한 뒤 ERG 에서 막대세포의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약물 투여 14일 후, emixustat군에서 용량 의존적 막대세포 억제가 있었으며, 2mg 그룹에서 가장 낮은 억제, 10mg 그룹에서 가장 많은 억제가 있었다. 원뿔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NCT01Q02950)<ref>Dugel PU et al. Phase 2,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90-day study of emixustat HCl in GA a/w dAMD. ''Retina''. 2015 Jun;35(6):1173-83. [https://pubmed.ncbi.nlm.nih.gov/25932553/ 연결]</ref>. | |||
== 보체계 억제 == | == 보체계 억제 == | ||
Factor D 는 보체 대체 경로(complement alternative pathway) 의 활성화에서 속도 제한 효소로, 전염증 효과기 (proinflammatory effectors) 의 증폭을 초래하는 양성 피드백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f>Emlen W et al. Therapeutic complement inhibition : new developments. ''Semin Thromb Hemost''. 2010 Sep;36(6):660-8. [https://pubmed.ncbi.nlm.nih.gov/20865643/ 연결]</ref>. Lampalizumab (Genentech/Roche, South San Francisco, CA, USA) 은 Factor D 에 대한 단클론 항체 (Fab) 이다. 14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NCT01229215) 에서 시험군은 lampalizumab 을 매달 혹은 격달로 주사하였고, 대조군도 위약을 매달 혹은 격달로 주사하였다. 18개월 후 매달 lampalizumab 주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도모양 위축]] 병변의 확장 속도가 20.4% 감소했으며, 격달 주사 군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Factor D 는 보체 대체 경로(complement alternative pathway) 의 활성화에서 속도 제한 효소로, 전염증 효과기 (proinflammatory effectors) 의 증폭을 초래하는 양성 피드백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f>Emlen W et al. Therapeutic complement inhibition : new developments. ''Semin Thromb Hemost''. 2010 Sep;36(6):660-8. [https://pubmed.ncbi.nlm.nih.gov/20865643/ 연결]</ref>. Lampalizumab (Genentech/Roche, South San Francisco, CA, USA) 은 Factor D 에 대한 단클론 항체 (Fab) 이다. 14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NCT01229215) 에서 시험군은 lampalizumab 을 매달 혹은 격달로 주사하였고, 대조군도 위약을 매달 혹은 격달로 주사하였다. 18개월 후 매달 lampalizumab 주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도모양 위축]] 병변의 확장 속도가 20.4% 감소했으며, 격달 주사 군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