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03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0일 (일)
잔글
잔글 (→‎치료)
22번째 줄: 22번째 줄:
맥락막 신생혈관 (CNV) 은 브루크 막의 파열 부위를 통해 RPE층 하부 또는 위층으로 증식되어 자라면서 형성된다<ref>Green WR et al. AMD histopathologic studies. The 1992 Lorenz E. Zimmerman Lecture. ''Ophthalmology''. 1993 Oct;100(10):1519-35. [https://pubmed.ncbi.nlm.nih.gov/7692366/ 연결]</ref>.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와 관련되어 발생하며<ref>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https://pubmed.ncbi.nlm.nih.gov/12745003/ 연결]</ref> 그 외 섬유모세포(fibroblast),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 임파구 그리고 대식세포도 발견된다<ref>Killingsworth MC et al. Macrophages related to Bruch's membrane in AMD. ''Eye (Lond)''. 1990;4 (Pt 4):613-21. [https://pubmed.ncbi.nlm.nih.gov/2226993/ 연결]</ref>. 신생혈관이 브루크막을 뚫고 안쪽으로 나오게 되면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측면으로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혈관 분지가 성숙하면서 점점 맥락막의 영양혈관의 몸통에서 갈라져 나오는 조직화된 혈관계로 발달하게 되고 섬유조직이 증식하게 된다. 신생혈관 분지에 존재하 는 내피세포는 장벽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감각신경망막, RPE층에서 단백질 및 지방삼출물 등의 누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결국에는 섬유혈관 상처가 발생하여 위쪽의 감각신경망막 조직을 파괴하고 심각한 시력 손상을 유발한다.
맥락막 신생혈관 (CNV) 은 브루크 막의 파열 부위를 통해 RPE층 하부 또는 위층으로 증식되어 자라면서 형성된다<ref>Green WR et al. AMD histopathologic studies. The 1992 Lorenz E. Zimmerman Lecture. ''Ophthalmology''. 1993 Oct;100(10):1519-35. [https://pubmed.ncbi.nlm.nih.gov/7692366/ 연결]</ref>.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와 관련되어 발생하며<ref>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https://pubmed.ncbi.nlm.nih.gov/12745003/ 연결]</ref> 그 외 섬유모세포(fibroblast),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 임파구 그리고 대식세포도 발견된다<ref>Killingsworth MC et al. Macrophages related to Bruch's membrane in AMD. ''Eye (Lond)''. 1990;4 (Pt 4):613-21. [https://pubmed.ncbi.nlm.nih.gov/2226993/ 연결]</ref>. 신생혈관이 브루크막을 뚫고 안쪽으로 나오게 되면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측면으로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혈관 분지가 성숙하면서 점점 맥락막의 영양혈관의 몸통에서 갈라져 나오는 조직화된 혈관계로 발달하게 되고 섬유조직이 증식하게 된다. 신생혈관 분지에 존재하 는 내피세포는 장벽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감각신경망막, RPE층에서 단백질 및 지방삼출물 등의 누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결국에는 섬유혈관 상처가 발생하여 위쪽의 감각신경망막 조직을 파괴하고 심각한 시력 손상을 유발한다.
== 치료 ==
== 치료 ==
=== 레이저 광응고 ===
처음에 맥락막 신생혈관막을 파괴하여 신생혈관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MPS 연구에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치료받은 환자의 약 82%에서 20/200 이하의 시력 저하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anti-VEGF 안내주입술 및 PDT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심와밖 CNV에서는 유의하게 시력 예후가 좋았고 심한 시력 상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26-31
=== 광역학 치료 (PDT) ===
광감작물질인 verteporfin (Visudyne) 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레이저 치료로는 불가능하였던 AMD와 그 외 여러 원인으로 인한 중심와밑 CNV를 폐쇄시키는 데 anti-VEGF 주사 치료 시기 이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치료의 효과는 CNV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료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하여 Treatment of AMD with Photodynamic Therapy (TAP) 와 Verteporfin in Photodynamic Therapy (VIP)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TAP 연구에서는 전형적 (classic) CNV를 보이는 중심와밑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2년째 치료군의 53%, 대조군의 38%에서 15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관찰되었다. 2년째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9%에서 만 관찰되었다. 32-34 VIP 연구는 잠복 (occult) 중심와밑 CNV에서 최근 병의 진행이 관찰되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고, 2년째 대조군의 32%에 비해서 치료군의 45%에서 14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있었다. 또한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5%에서 관찰되었다 35 현재 대부분의 wAMD의 치료는 anti-VEGF 주사 치료이며, PDT 치료는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에서 anti-VEGF 주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병합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 병합 치료 ===
=== 병합 치료 ===
병합 치료의 편리는 HIV와 같은 전염병 치료와 암치료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anti-VEGF 제제와 화학 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을 조합하여 종양치료에 사용 시 큰 항종양 효과 나타낸다. 황반변성 치료에서도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서로 결합하면 이와 같은 상승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희망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병합 치료의 편리는 HIV와 같은 전염병 치료와 암치료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anti-VEGF 제제와 화학 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을 조합하여 종양치료에 사용 시 큰 항종양 효과 나타낸다. 황반변성 치료에서도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서로 결합하면 이와 같은 상승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희망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