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1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0일 (일)
잔글
23번째 줄: 23번째 줄:
== 치료 ==
== 치료 ==
=== 레이저 광응고 ===
=== 레이저 광응고 ===
처음에 맥락막 신생혈관막을 파괴하여 신생혈관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MPS 연구에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치료받은 환자의 약 82%에서 20/200 이하의 시력 저하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anti-VEGF 안내주입술 및 PDT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심와밖 CNV에서는 유의하게 시력 예후가 좋았고 심한 시력 상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26-31
처음에 맥락막 신생혈관막을 파괴하여 신생혈관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MPS 연구에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치료받은 환자의 약 82%에서 20/200 이하의 시력 저하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anti-VEGF 안내주입술 및 PDT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심와밖 CNV에서는 유의하게 시력 예후가 좋았고 심한 시력 상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ref>Laser photocoagulation of subfoveal NV lesions of AMD. Updated findings from 2 clinical trials. MPS Group. ''Arch Ophthalmol''. 1993 Sep;111(9):1200-9. [https://pubmed.ncbi.nlm.nih.gov/7689827/ 연결]</ref>. 26-30
 
=== 광역학 치료 (PDT) ===
=== 광역학 치료 (PDT) ===
광감작물질인 verteporfin (Visudyne) 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레이저 치료로는 불가능하였던 AMD와 그 외 여러 원인으로 인한 중심와밑 CNV를 폐쇄시키는 데 anti-VEGF 주사 치료 시기 이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광감작물질인 verteporfin (Visudyne) 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레이저 치료로는 불가능하였던 AMD와 그 외 여러 원인으로 인한 중심와밑 CNV를 폐쇄시키는 데 anti-VEGF 주사 치료 시기 이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