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1년 10월 11일 (월)
잔글
28번째 줄: 28번째 줄:
* 심한 NPDR : 3개월 간격
* 심한 NPDR : 3개월 간격
*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 : 치료되지 않은 경우는 1개월, 치료 후 안정적인 경우 6~12개월 간격
*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 : 치료되지 않은 경우는 1개월, 치료 후 안정적인 경우 6~12개월 간격
을 권고하고 있다<ref>Wong TY et al. Guidelines on Diabetic Eye Care : The ICO Recommendations for Screening, FU, Referral, and Treatment Based on Resource Settings. ''Ophthalmology''. 2018 Oct;125(10):1608-1622. [https://pubmed.ncbi.nlm.nih.gov/29776671/ 연결]</ref>.
* [[당뇨 황반 부종|DME]] :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 3~6개월 간격, 황반부 침범 시에는 1~3개월 간격의 경과 관찰 기간을 설정하고, anti-VEGF 치료 시에는 필요에 따라 매달 경과 관찰이 필요하기도 하다.
* [[당뇨 황반 부종|DME]] :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 3~6개월 간격, 황반부 침범 시에는 1~3개월 간격의 경과 관찰 기간을 설정하고, anti-VEGF 치료 시에는 필요에 따라 매달 경과 관찰이 필요하기도 하다.
실제 환자 경과 관찰 기간은 환자의 안저 상태, 동반된 다른 안과 질환, 전신 상태, 환자의 경제사회적 상황 등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을 권고하고 있다<ref>Wong TY et al. Guidelines on Diabetic Eye Care : The ICO Recommendations for Screening, FU, Referral, and Treatment Based on Resource Settings. ''Ophthalmology''. 2018 Oct;125(10):1608-1622. [https://pubmed.ncbi.nlm.nih.gov/29776671/ 연결]</ref>. 실제 환자 경과 관찰 기간은 환자의 안저 상태, 동반된 다른 안과 질환, 전신 상태, 환자의 경제사회적 상황 등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 그 밖의 비수술적 치료 ==
== 그 밖의 비수술적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