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망막병: 두 판 사이의 차이

1,16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은 정상 혈압인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고 동맥경화성 변화는 연령의 증가와도 관련이 깊으므로 고혈압성 망막병증의 진단에는 정확한 혈압의 측정과 혈압약 복용 여부 등이 중요하며 안과 의사는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을 숙지하여 고혈압 병력이 없는 환자라도 혈압 측정을 포함한 전신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은 정상 혈압인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고 동맥경화성 변화는 연령의 증가와도 관련이 깊으므로 고혈압성 망막병증의 진단에는 정확한 혈압의 측정과 혈압약 복용 여부 등이 중요하며 안과 의사는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을 숙지하여 고혈압 병력이 없는 환자라도 혈압 측정을 포함한 전신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분류 ==
=== Keith-Wagener-Baker 분류법 ===
고혈압 환자의 망막병증의 심한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으나, 1, 2기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8
* 1기 : 망막 소동맥의 경미한 협착
* 2기 : 망막 소동맥의 국소 협착 및 소동맥정맥 함요
* 3기 : 2기 소견 + 망막 출혈, 면화반, 경성 삼출물
* 4기 : 3기 소견 + 시신경 유두 부종
=== Wong, Mitchell 의 분류법 ===
각 단계의 예후에 근거하여 단순한 분류법을 보고하였다<ref>Downie LE, et al. HTNR : comparing the Keith-Wagener-Barker to a simplified classification. ''J Hypertens''. 2013 May;31(5):960-5. [https://pubmed.ncbi.nlm.nih.gov/23449021/ 연결]</ref>.
* 없음 : 특이 소견 없음
* 경도 : 전반적인 소동맥 협착 (GAN), 국소적인 소동맥 협착 (FAN), 소동맥정맥 함요, 소동맥 혈관벽의 혼탁 (구리선 또는 은선 반사), 또는 이들의 조합
* 중등도 : 망막출혈 (점상 또는 불꽃 모양), 미세혈관류, 면화반, 경성 삼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
* 악성 : 중등도 소견 + 시신경 부종 + 심한 혈압 증가
== 예후 ==
== 예후 ==
악성 고혈압은 예후가 좋지 않으며 이는 Keith-Wagener-Barker 분류에서 grade IV에 해당된다. 악성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2년 내 사망률이 80%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를 받는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은 12년으로 알려져 있다. Keith-Wagener-Barker 분류의 grade III를 accelerated phase, grade IV를 malignant phase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Lip 등의 연구에 의하면 두 경우 생존율에 차이가 없어 이러한 구분의 의의는 적다고 할 수 있다.
악성 고혈압은 예후가 좋지 않으며 이는 Keith-Wagener-Barker 분류에서 grade IV에 해당된다. 악성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2년 내 사망률이 80%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를 받는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은 12년으로 알려져 있다. Keith-Wagener-Barker 분류의 grade III를 accelerated phase, grade IV를 malignant phase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Lip 등의 연구에 의하면 두 경우 생존율에 차이가 없어 이러한 구분의 의의는 적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