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예후) |
잔글 (→치료)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악성 : 중등도 소견 + 시신경 부종 + 심한 혈압 증가 | * 악성 : 중등도 소견 + 시신경 부종 + 심한 혈압 증가 | ||
== 치료 == | == 치료 == | ||
만성적으로 상승된 혈압의 효과는 눈에서 고혈압 망막병과 고혈압 맥락막병의 소견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계통에서 일어나는 혈관 변화를 반영한다. 안과 의사와 내과 의사는 고혈압 환자를 효과적으로 검진하고, 안과적 질환 및 전신적 질환의 이환 및 사망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 만성적으로 상승된 혈압의 효과는 눈에서 고혈압 망막병과 고혈압 맥락막병의 소견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계통에서 일어나는 혈관 변화를 반영한다. 안과 의사와 내과 의사는 고혈압 환자를 효과적으로 검진하고, 안과적 질환 및 전신적 질환의 이환 및 사망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ref>Fraser-Bell S et al. Hypertensive eye disease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7 Jan;45(1):45-53. [https://pubmed.ncbi.nlm.nih.gov/27990740/ 연결]</ref>. | ||
치료는 질환의 중등도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다. 경도에서는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조절한다. 중등도에서는 혈압의 측정과 조절 이외에도, 당뇨 등의 다른 위험인자 동반 여부 및 심혈관계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내과 의사에게 진료 의뢰가 필요하다. 악성 (중증) 은 사망률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응급 진료 의뢰 및 치료가 요구된다. 표적기관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장, 심혈관계, 뇌혈관계 등의 다른 계통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 치료는 질환의 중등도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다. 경도에서는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조절한다. 중등도에서는 혈압의 측정과 조절 이외에도, 당뇨 등의 다른 위험인자 동반 여부 및 심혈관계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내과 의사에게 진료 의뢰가 필요하다. 악성 (중증) 은 사망률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응급 진료 의뢰 및 치료가 요구된다. 표적기관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장, 심혈관계, 뇌혈관계 등의 다른 계통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