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잔글 (→역학)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소견은 혈압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ref>Hubbard LD et al. Methods for evaluation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HTN/sclerosis in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Ophthalmology''. 1999 Dec;106(12):2269-80. [https://pubmed.ncbi.nlm.nih.gov/10599656/ 연결]</ref>. 전반적인 소동맥 협착 (generalized arteriolar narrowing, GAN) O| 고혈압의 발현보다 선행할 수 있다<ref>Klein R et al. The relationship of retinopathy in persons without DM to the 15-year incidence of DM and HTN : BDES. ''Trans Am Ophthalmol Soc''. 2006;104:98-107. [https://pubmed.ncbi.nlm.nih.gov/17471330/ 연결]</ref>. 한 연구에 서는 GAN 소견을 가지는 정상 혈압을 가지는 사람에서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GAN 소견을 가지는 경도의 고혈압 환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GAN은 보다 광범위한 전신 말초혈관의 수축을 반영하는 소견으로서,고혈압의 초기 임상적 마커가 될 수 있다. 소아에서의 연구에서 망막 소동맥 협착과 상승된 혈압 사이의 연관성은 4~5세와 같이 어린 나이에서도보고된 바 있다. 또한, HTNR 의 소견이 과거의 혈압 정도 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예를 들어, GAN과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소견은 현재의 혈압 정도뿐만이 아니라 과거의 혈압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 두 가지 소견이 오래된 고혈압의 누적 효과를 반영하는 만성 고혈압성 손상의 마커임을 시사한다. 반면, 국소 소동맥 협착,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 면화반은 현재의 혈압 정도와만 연관성을 가지며, 혈압의 단기적인 변화의 효과를 반영한다. | 소견은 혈압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ref>Hubbard LD et al. Methods for evaluation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HTN/sclerosis in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Ophthalmology''. 1999 Dec;106(12):2269-80. [https://pubmed.ncbi.nlm.nih.gov/10599656/ 연결]</ref>. 전반적인 소동맥 협착 (generalized arteriolar narrowing, GAN) O| 고혈압의 발현보다 선행할 수 있다<ref>Klein R et al. The relationship of retinopathy in persons without DM to the 15-year incidence of DM and HTN : BDES. ''Trans Am Ophthalmol Soc''. 2006;104:98-107. [https://pubmed.ncbi.nlm.nih.gov/17471330/ 연결]</ref>. 한 연구에 서는 GAN 소견을 가지는 정상 혈압을 가지는 사람에서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GAN 소견을 가지는 경도의 고혈압 환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GAN은 보다 광범위한 전신 말초혈관의 수축을 반영하는 소견으로서,고혈압의 초기 임상적 마커가 될 수 있다. 소아에서의 연구에서 망막 소동맥 협착과 상승된 혈압 사이의 연관성은 4~5세와 같이 어린 나이에서도보고된 바 있다. 또한, HTNR 의 소견이 과거의 혈압 정도 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예를 들어, GAN과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소견은 현재의 혈압 정도뿐만이 아니라 과거의 혈압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 두 가지 소견이 오래된 고혈압의 누적 효과를 반영하는 만성 고혈압성 손상의 마커임을 시사한다. 반면, 국소 소동맥 협착,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 면화반은 현재의 혈압 정도와만 연관성을 가지며, 혈압의 단기적인 변화의 효과를 반영한다. | ||
전통적으로 HTNR의 소견으로 포함되지 않았던 망막 소정맥 직경이 망막 혈관의 상태와 전신 상태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몇 가지 연구들에서 망막 소정맥의 확장이 혈압의 증가 정도나 고혈압 발생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