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망막병: 두 판 사이의 차이

21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5일 (금)
잔글
잔글 (→‎단계)
잔글 (→‎진행)
14번째 줄: 14번째 줄:
* 혈관 수축 단계 (vasoconstrictive phase) : 혈압 증가에 따른 초기 반응은 혈관 연축과 혈관 운동성 긴장의 증가이며, 최적의 혈류량을 조절하기 위해 망막 소동맥 협착이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는 임상적으로 전반적인 (GAN) 또는 국소적인 망막 소동맥 협착 (FAN) 이 관찰된다.
* 혈관 수축 단계 (vasoconstrictive phase) : 혈압 증가에 따른 초기 반응은 혈관 연축과 혈관 운동성 긴장의 증가이며, 최적의 혈류량을 조절하기 위해 망막 소동맥 협착이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는 임상적으로 전반적인 (GAN) 또는 국소적인 망막 소동맥 협착 (FAN) 이 관찰된다.
* 경화 단계 (sclerotic phase) : 내막 비후, 중막 벽의 증식,유리질 변성 (hyaline degeneration) O| 일어난다. 미만성의 혹은 국소적인 망막 소동맥 협착, 소동맥 벽의 혼탁화 (구리선 또는 은선 반사), 소동맥의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교차 부위의 소정맥이 압박 되는 소견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or nipping) 이 관찰된다.
* 경화 단계 (sclerotic phase) : 내막 비후, 중막 벽의 증식,유리질 변성 (hyaline degeneration) O| 일어난다. 미만성의 혹은 국소적인 망막 소동맥 협착, 소동맥 벽의 혼탁화 (구리선 또는 은선 반사), 소동맥의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교차 부위의 소정맥이 압박 되는 소견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or nipping) 이 관찰된다.
* 삼출 단계 (exudative phase) : 혈압의 증가가 만성흑으로 지속되면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되며, 평활근과 내피세포의 괴사,혈액과 지질의 삼출, 망막 신경섬유 층의 허혈이 일어나서, 미세혈관류,망막출혈, 경성 삼출물, 면화반이 관찰된다.
* 삼출 단계 (exudative phase) : 혈압의 증가가 만성흑으로 지속되면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되며, 평활근과 내피세포의 괴사,혈액과 지질의 삼출, 망막 신경섬유 층의 허혈이 일어나서 미세혈관류, 망막출혈, 경성 삼출물, 면화반이 관찰된다.
* 악성 고혈압기 (malignant HTN phase) : 매우 심한 고혈압에서는 시신경유두 부종이 동반될 수 있는데, 이는 뇌압 상승을 동반한 고혈압성 뇌병증을 시사하는 소견이다.8


== 소견 ==
==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