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전신 질환과의 관련성) |
잔글 (→진행)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삼출 단계 (exudative phase) : 혈압의 증가가 만성흑으로 지속되면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되며, 평활근과 내피세포의 괴사,혈액과 지질의 삼출, 망막 신경섬유 층의 허혈이 일어나서 미세혈관류, 망막출혈, 경성 삼출물, 면화반이 관찰된다. | * 삼출 단계 (exudative phase) : 혈압의 증가가 만성흑으로 지속되면 혈액-망막 장벽이 손상되며, 평활근과 내피세포의 괴사,혈액과 지질의 삼출, 망막 신경섬유 층의 허혈이 일어나서 미세혈관류, 망막출혈, 경성 삼출물, 면화반이 관찰된다. | ||
* 악성 고혈압기 (malignant HTN phase) : 매우 심한 고혈압에서는 시신경유두 부종이 동반될 수 있는데, 이는 뇌압 상승을 동반한 고혈압성 뇌병증을 시사하는 소견이다.8 | * 악성 고혈압기 (malignant HTN phase) : 매우 심한 고혈압에서는 시신경유두 부종이 동반될 수 있는데, 이는 뇌압 상승을 동반한 고혈압성 뇌병증을 시사하는 소견이다.8 | ||
여러 단계는 항상 순차적 인 것은 아니 다. 예를 들어, 급성으로 혈압이 상승한 환자 에서 소동맥정맥 함요 등의 경화 단계의 소견이 없이, 망 막출혈 등의 삼출 단계의 소견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혈압 증가만으로는 HTNR의 모든 병태생리적 기전을 설명할 수 없다. 관여하는 과정으로는 염증, 내피세포 기능 이상, 비정상적인 혈관 신생, 산화 스트레스 등이 있다. 고혈압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HTNR 소견이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 |||
== 소견 == | == 소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