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54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6일 (수)
잔글
잔글 (→‎분류)
13번째 줄: 13번째 줄:
시력 손상이 있는 노인에서 망막하 출혈, 지방 삼출물 또는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관찰될 경우 이는 주로 맥락막 신생혈관을 시사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을 강하게 의심해야 하는 임상 양상으로는 동반된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하 지방 삼출물, 망막하 출혈, 혼탁한 망막하액 (turbid subretinal fluid) 등이 있다.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동반될 수 있으며, 특히 RPED 내층 또는 둘러싸는 출혈은 CNV를 의심하는 소견이다. 출혈이 망막색소상피 하층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암녹색을 띤 출혈이 관찰 되고 RPE와 망막 사이의 출혈은 보다 붉은색 출혈로 관찰된다. 드물게는 출혈이 망막을 통해 유리체강 내로 퍼져 광범위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감별을 요한다.
시력 손상이 있는 노인에서 망막하 출혈, 지방 삼출물 또는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관찰될 경우 이는 주로 맥락막 신생혈관을 시사한다. 맥락막 신생혈관을 강하게 의심해야 하는 임상 양상으로는 동반된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하 지방 삼출물, 망막하 출혈, 혼탁한 망막하액 (turbid subretinal fluid) 등이 있다.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동반될 수 있으며, 특히 RPED 내층 또는 둘러싸는 출혈은 CNV를 의심하는 소견이다. 출혈이 망막색소상피 하층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암녹색을 띤 출혈이 관찰 되고 RPE와 망막 사이의 출혈은 보다 붉은색 출혈로 관찰된다. 드물게는 출혈이 망막을 통해 유리체강 내로 퍼져 광범위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감별을 요한다.


== 분류 ==
== FA ==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CNV가 의심될 경우에 형광안저 혈관조영술 (FA) 을 통해 신생혈관의 양상 (classic and occult), 구성 요소 (우세 전형 (predominantly classic), 미세 전형(minimally classic, occult with no classic)), 경계,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경계가 분명한 CNV는 그 위치에 따라
* 잠복 (occult) 맥락막 신생 혈관 :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과 달리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삼출성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85% 를 차지한다.
* 중심와밖 (extrafoveal) : 중심와 무혈관 부위 (foveal avascular zone, FAZ) 의 중심에서 200㎛ 이상 떨어진 경우
* 중심와곁 (juxtafoveal) : 1~199㎛ 떨어진 경우
* 중심와밑 (subfoveal) : FAZ를 침범한 경우
로 분류한다.
=== 전형 (classic)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 잠복 (occult) ===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과 달리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삼출성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85% 를 차지한다.
# 제 1형 : 망막 색소 상피의 불규칙적인 융기로 관찰되는 섬유혈관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이다.
# 제 1형 : 망막 색소 상피의 불규칙적인 융기로 관찰되는 섬유혈관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이다.
# 제 2형 : 후기의 누출을 설명할 수 있는 초기, 중기의 명확한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이나 제 1형 잠복 맥락막 신생 혈관이 관찰되지 않는다.
# 제 2형 : 후기의 누출을 설명할 수 있는 초기, 중기의 명확한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이나 제 1형 잠복 맥락막 신생 혈관이 관찰되지 않는다.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안저 자가 형광]] ===
=== [[안저 자가 형광]] ===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