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4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6일 (수)
잔글
잔글 (→‎OCT)
36번째 줄: 36번째 줄:
=== 3형 : [[망막 혈관종 증식]] ===
=== 3형 : [[망막 혈관종 증식]] ===
심부 망막 모세혈관층의 혈관 또는 그 하부의 CNV가 증식하여 점진적으로 RPE를 파괴하며 맥락막 혈관과 망막 혈관의 문합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질환군으로 일반적으로 제 3형 CNV로 불린다. OCT에서 망막내 낭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연성 드루젠]]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심부 망막 모세혈관층의 혈관 또는 그 하부의 CNV가 증식하여 점진적으로 RPE를 파괴하며 맥락막 혈관과 망막 혈관의 문합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질환군으로 일반적으로 제 3형 CNV로 불린다. OCT에서 망막내 낭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연성 드루젠]]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 [[망막 색소상피 박리]] ===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안저 자가 형광]] ===
=== [[안저 자가 형광]] ===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참고}}
{{참고}}